한국병원약사회, 병동전담·인력기준·수가 '3대 추진축' 제시
28대 집행부 5개 TF 운영…성과와 과제 공유
인력기준 외부용역·수가 개선·법제화 로드맵 마련
11월 국회 정책토론회서 중증·중환자 약물치료 공론화
전하연 기자 haye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09-22 06:00   수정 2025.09.22 06:01
(왼쪽부터) 한국병원약사회 백진희 교육부회장(서울대학교병원 약제부장), 정경주 회장(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약제팀장), 최경숙 부회장(전문약사운영단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약제부장). ©약업신문=전하연 기자

한국병원약사회(회장 정경주, 이하 병원약사회)가 병동 전담 약사 제도화, 의료기관 약사 인력기준 개정, 약제 수가 보완을 핵심 추진축으로 제시하며 제도적 기반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병원약사회는 인천 영종도 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18일 열린 ‘2025 병원 약제부서 관리자 역량강화교육’ 기자간담회에서 28대 집행부 출범 이후의 성과와 향후 과제를 설명했다. 간담회에는 정경주 회장, 최경숙 부회장(전문약사운영단장·분당서울대학교병원 약제부장), 백진희 부회장(서울대학교병원 약제부장)이 참석했다.

정 회장은 올해부터 △의료기관 약사 인력기준 개정 △병동 전담 약사 △병원약사 미래 비전 △병원약제 수가 △다제약물 관리사업 병원모형 활성화 등 5개 TF를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력기준 TF는 병원급 의료기관 약사 정원 지표 산출과 개정안을 마련해 보건사회연구원 외부용역으로 연결할 계획이다. 수가 TF는 마약류 관리, 고위험의약품 관리, 야간·공휴일 조제, 중증환자 약물치료 관리 등 현장의 수요가 높은 과제를 선정했다. 특히 병동 전담 약사 제도는 환자안전과 약물 전주기 관리 차원에서 제도화 필요성이 강조됐다.

최경숙 부회장은 “병동전담약사가 상주할 경우 의약품 사용 과오가 45%, 잠재적 위해 과오가 94% 감소했다”며 “국내 연구에서도 중재 건수와 범위가 확대되고, 6개월간 최소 3700만원의 의료비 절감 효과가 확인됐다”고 소개했다. 일본은 이미 2012년 병동 배정 약사의 안전성 관리 행위에 보험 수가를 지급해 제도를 발전시킨 사례가 있다고도 덧붙였다.

병원약사회는 올해 신설된 TF를 통해 표준 활동모델을 구축하고 전문약사 제도와 연계해 제도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병원약사 미래 비전 TF’를 통해 병원약사를 대표할 캐릭터 개발, 홍보용 광고 이미지 제작, 홈페이지 내 일반인 대상 ‘병원약사’ 메뉴 신설 등을 추진해 병원약사의 대외적 위상과 자긍심을 높이겠다는 계획도 제시했다.

병원약제 수가 개선과 관련해 정 회장은 “특히 고위험의약품 관리가 시급하다”며 “중증환자 약물치료에서 다학제 참여를 확대해 성과를 높이고, 이에 대한 보상이 이뤄지도록 근거를 축적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원내 조제에는 야간·공휴일 가산이 적용되지 않는 구조적 공백이 있어 개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정부 주도의 의료전달체계 개편에 따라 중증·중환자 진료체계가 강화되는 시점에서 약사의 참여 확대도 주요 의제로 떠올랐다. 병원약사회는 중환자 전담 약사의 필수적 참여를 법적·제도적으로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회장은 “중환자실 약사의 회진 참여와 약물 관리가 환자 안전과 치료 성과에 직결된다”며 “메타분석에서도 약사 참여가 환자 사망률 감소, 재실 기간 단축, 약물 부작용 감소로 이어지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영국·캐나다 등은 이미 중환자 약사를 다학제 팀의 필수 인력으로 규정하고 보험 수가에 반영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제도적 장치 마련, 다학제 회진 항목에 약사 포함, 중환자 약물치료관리 수가 별도 지급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다제약물 관리사업 병원모형도 성과와 한계가 함께 제시됐다. 

2018년 공단 시범으로 시작된 이 사업은 2020년 7개 병원에서 도입돼 2025년 8월 현재 74개 병원으로 확대됐다. 올해 서비스 제공 인원은 총 3490명(입·퇴원 3195명, 외래 295명)으로, 참여자의 30.9%에서 1인 평균 2.5건의 처방약 조정이 이뤄지고 응급실 방문 위험은 0.63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10종 이상 다제약물을 복용하는 만성질환자가 136만명에 달하는 현실에서 실제 제공 인원은 전체의 0.72%에 불과해 제도화와 확대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됐다.

한국병원약사회는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협력해 전산 시스템 개선과 사례집 공유를 추진하는 한편, 병원협회를 통한 홍보 강화로 병원장 인식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또한 복지부 주관 본사업 전환을 통해 전국 확대와 안정적 재정 기반 확보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기했다.

한편 한국병원약사회는 오는 11월 국회에서 ‘의료 전달 체계 변화와 병원 약사 역할 강화’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서영석·김윤 의원 공동 주최로 열리는 이번 토론회에서는 병원 기능 전환에 따른 약사 인력 재정비와 중증·중환자 진료에서 약사의 필수적 참여 보장을 핵심 의제로 다룰 계획이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