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안전나라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판매업소 현황에 따르면 11월 7일 기준 전국 약국은 539곳, 의원급 포함 건강기능기능식품 전문 판매업소는 83곳이 등록됐다.
이는 10월 31일 기준 전국 약국 517곳, 판매업소 81곳에서, 7일 만에 판매약국은 22곳, 판매업소는 2곳이 늘어난 수치다.
약국은 지역별로, 서울 147곳, 인천 23곳, 대전 10곳, 세종 4곳, 대구 36곳, 광주 21곳, 울산 12곳, 부산 28곳, 경기 114곳, 충남 18곳, 충북 12곳, 강원 14곳, 경북 16곳, 경남 24곳, 전북 22곳, 전남 18곳, 제주 20곳으로 집계됐다. 이중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이 총 284곳으로 52%를 차지했다.
의원 포함 건강기능기능식품 전문 판매업소는 지역별로 서울 39곳, 인천 9곳, 세종 1곳, 대구 4곳, 광주 2곳, 부산 3곳, 경기 12곳, 충남 4곳, 충북 1곳, 강원 2곳, 경북 3곳, 경남 1곳, 전북1곳, 전남 1곳이고 대전, 울산, 제주는 판매업소가 없었다.
판매업소 빠른 증가 추세가 반영하듯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지속 성장하고 있다.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에 따르면 국내 건기식 시장 규모는 2005년 1조 2000억 원에서 지난해 6조 440억 원으로 성장했고, 오는 2030년 25조원까지 규모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제약업계도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약국가와 함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제품을 잇따라 출시하고 있다.
|
약국가와 소비자 '니즈' 맞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출시
콜마비앤에이치는 지난해 6월 대한약사회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약국 전용 건강기능식품 공동 연구 개발에 상호 협력키로 했다.
기존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는 대량 구매로 인한 재고 부담과 복용의 번거로움이 약국가의 주요한 불편 요소였다. 또, 기존 제품들은 소분 포장 시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자동조제기(ATC) 크기에 맞지 않거나, 비슷한 색상으로 인해 제품을 구분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건강기능식품 ODM 기업 콜마비앤에이치는 자동조제기에 최적화된 크기와 다양한 색상을 적용한 약국 전용 소분 제품 10종을 개발해 올해 3월부터 공급하고 있다.
주요 제품군으로는 ▲간 건강을 위한 밀크시슬 ▲장 건강을 돕는 유산균 ▲면역력 강화를 위한 프로폴리스 등이 있으며, 크기와 함량, 복합 성분 등을 최적화해 복용 편의성을 높이고, 체내 흡수율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약사회·제약사, ‘합리적 가격· 고품질 건기식’ 개발 맞손
제약사들도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올해 8월 동아제약, 유한양행은 대한약사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약국용 실속형 건강기능식품 공동개발에 나섰다. 이번 협약은 약사회가 제안한 약사의 전문성을 반영한 합리적 가격의 건기식 개발 필요성에 동아제약과 유한양행이 공감하며 성사됐다.
약사회는 동아제약과 함께 약국 전용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팜베이직'을 선보였다. ▲눈 건강(루테인지아잔틴) ▲혈행개선(오메가-3) △장 건강(유산균) ▲종합영양(멀티비타민미네랄) ▲간 건강(밀크씨슬 B복합) ▲혈압(코엔자임Q10 복합) ▲관절&뼈(보스웰리아 복합) ▲혈당&체지방(카테킨&바나바 복합) 등 신제품 8종을 출시했다. 30일분 소포장으로 자동화 생산해 합리적 가격대에 판매 중이다.
유한양행과는 ▲관절 ▲뼈 건강 ▲뇌 건강 ▲수면 ▲뷰티·항산화 ▲데일리 케어 등 분야 총 8개의 제품을 개발할 계획이며, 올해 하반기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경기도약사회와 인천광역시약사회는 일동제약과 약국·약사회 맞춤형 제품 공동개발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을 통해 인천약사회와 일동제약은 올해 11월 제품 출시를 목표로 약국의 경영 활성화를 위한 제품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약사회와 일동제약은 약국용 건기식 특성을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제품을 개발하는 한편, 원활한 주문·결제와 기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일동제약의 온라인 유통 플랫폼 ‘새로팜’을 활용할 계획이다.
대원제약은 약국 전용 건강기능식품 브랜드인 '멘토라이프'를 론칭했다. 멘토라이프는 대원제약의 전문성과 신뢰성을 기반으로 원료의 원산지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품질이 검증된 프리미엄 원료를 사용하는 건강기능식품 브랜드다.
대원제약은 브랜드 론칭과 함께 ▲눈 건강 ▲인지력 ▲기억력 개선 등에 특화된 3종의 신제품을 출시했다. 대원제약은 직접 브랜드를 관리하며 지속 새로운 제품들을 출시하며 사업 기반을 다져간다는 계획이다.
약국 전용 브랜드에서 출시하는 건강기능식품들은 올리브영, 다이소, 편의점 등 기존 유통처에 판매되는 건강기능식품 대비 고함량의 프리미엄 원료가 사용된 것이 특징이다.
| 01 | 한국바이오협회,'J.P 모건 헬스케어 2026' ... |
| 02 | 동물실험 넘어 오가노이드와 디지털로…인체 ... |
| 03 | [뷰티누리×민텔] 워터리스 뷰티, 효능으로 ... |
| 04 | 신약개발 2막 'AI·양자컴퓨팅'㊤ "양자중첩,... |
| 05 | 암젠 ‘레파타’ 투여 주요 심혈관계 증상 25% ↓ |
| 06 | 신약개발 2막 'AI·양자컴퓨팅'㊦ “보이지 않... |
| 07 | 비대면진료 제도화 ‘불씨’…약계 “약사 역할 ... |
| 08 | 커지는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시장...제약... |
| 09 | 동아에스티,당뇨 복합제 개발 'DA-5221' 임... |
| 10 | 바이오솔루션,동종 연골세포 스페로이드 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