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社에서부터 사노피-아벤티스社, 존슨&존슨社, 노바티스社, 엘란社, 그리고 ‘기업사냥꾼’ 칼 C. 아이칸에 이르기까지...
미국의 ‘넘버 3’ 생명공학기업 바이오젠 Idec社가 지난 12일 매각을 검토 중임을 공개한 이후로 메이저 제약기업들의 이름이 유력한 인수후보자들로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오젠 Idec 인수를 교두보삼아 최근 발빠른 성장세와 높은 이익률로 주목받고 있는 BT 분야로 자사의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내심 매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보인다는 것.
현재 인수후보자로 이름이 거론되고 있는 제약기업들은 한곁같이 구체적인 입장표명을 삼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아일랜드 엘란社(Elan)의 경우 국제적 투자은행 레만 브라더스社와 계약을 맺고 바이오젠 Idec 인수전 참여 여부를 저울질하기 시작했음을 15일 공표하고 나섰다.
이에 따라 바이오젠 Idec를 인수하기 위해서는 최대 250억~300억 달러 안팎의 금액이 소요될 것이라는 예측도 고개를 들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게다가 몇몇 소식통들에 따르면 ‘기업사냥꾼’으로 유명한 칼 C. 아이칸이 이미 바이오젠 Idec측에 230억 달러라는 매력적인 인수조건을 제시했다는 소식도 귀에 들어오고 있다.
230억 달러는 나스닥에서 15일 바이오젠 Idec의 마감가격이 한 주당 82.51달러를 기록했음을 근거로 제시된 것이라 풀이되고 있다. 아이칸은 지난주 바이오젠 Idec에 대한 지분률을 기존의 1%에서 4%로 끌어올린 상태.
이와 관련, 화이자의 경우 BT 부문에서도 리더가 되겠다는 의지를 공공연히 내비쳐 왔다는 지적이다. 사노피-아벤티스 또한 BT 메이커를 인수하기 위해 타깃을 고르고 있음을 지난달 공개한 바 있다.
존슨&존슨社도 최근 빈혈 치료제와 스텐트 제품 분야에서 매출이 주춤하고 있는 현실에서 돌파구삼아 BT 분야로 눈길을 돌리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반면 애널리스트들은 이미 BT 분야에서 상당한 존재감을 심고 있는 아스트라제네카社와 로슈社의 경우 인수전에 동승할 개연성을 낮게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글락소스미스클라인社도 BT 부문이 전력투구 타깃이 아니라는 사유로 참여 가능성이 높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는 후문이다.
그러나 애널리스트들은 설령 메이저 제약기업들이라고 하더라도 바이오젠 Idec를 인수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금전적 부담을 감수해야 하고, 이것이 인수결정에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지난 4월말 메드이뮨社(MedImmune)를 인수했던 아스트라제네카社의 경우 총 152~156억 달러를 대가로 지불해야 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는 메드이뮨 한해 매출액에 견주어 볼 때 무려 11배에 달하는 수준의 금액.
매출액 대비 11배라는 조건을 바이오젠 Idec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인수가능 금액 수준은 340억 달러대로 커지게 된다.
한 애널리스트는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 ‘타이사브리’(Tysabri; 나탈리주맙)가 바이오젠 Idec의 인수가격을 결정할 핵심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한편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바이오젠 Idec社가 항암제 ‘리툭산’(또는 ‘맙테라’; 리툭시맙)과 관련해 제넨테크社와 제휴하고 있는 데다 ‘타이사브리’와 관련해 엘란社와 파트너십 관계를 구축하고 있는 현실이 메이저 제약기업들로 하여금 인수를 주저케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제넨테크와 엘란측이 이참에 각각 제휴대상 제품에 대한 권한을 아예 100% 인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
이미 바이오젠 Idec 인수전에 참여할 가능성까지 배제하지 않고 있는 엘란측의 경우 ‘타이사브리’와 관련해 50%의 지분을 보장받고 있는 입장이다. ‘리툭산’과 ‘타이사브리’는 각각 바이오젠 Idec의 기존 핵심제품과 미래의 간판품목으로 손꼽히고 있다.
바이오젠 Idec는 핵심제품인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 ‘애보넥스’(인터페론 베타-1a)가 신제품들과 바이오 제네릭 제형들의 도전에 직면하면서 매출성장세의 부진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형편이다.
01 | "꿈팔던 시대는 끝, 수치로 증명해야" 아이... |
02 | 중국 상반기 신규 화장품 원료 80종 등록… ... |
03 | 사노피 ‘살클리사’ 다발 골수종 4제 요법 EU... |
04 | 건강·기술·가치 중심 소비 부상… 브랜드 설... |
05 | 상장 화장품기업 1Q 총차입금 평균 795억 …... |
06 | AI로 복잡한 심장 MRI 진단 자동화… 팬토믹... |
07 | 상장 제약바이오 1Q 총차입금 평균 1583억원... |
08 | "FDA 이어 EMA도 고개 끄덕…CHMP, 글로벌 신... |
09 | GSK, RSV 인식 개선 위해 시니어 영웅 소환 |
10 | 지오영 인천 스마트허브센터, 의약품 유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