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약사회가 공정거래위원회 심사보고서를 내부 기구에 공유하지 않았다는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서울특별시약사회가 비공개 방침과 절차 부재를 문제 삼으며 권영희 회장에게 공식 공개 질의를 보냈다.
서울특별시약사회(회장 김위학)가 대한약사회(회장 권영희)의 공정거래위원회 심사보고서 처리 과정과 관련해 절차적 정당성과 책임 소재를 공식적으로 따져 묻는 공개 질의서를 발송했다.
서울시약사회는 11일자 공개 질의서에서, 대한약사회가 올해 7월 20~21일 공정위로부터 다이소 건강기능식품 유통 문제와 관련한 심사보고서를 접수하고도 상임이사회·지부장회의·이사회·감사단 등 주요 의사결정기구에 이를 공유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특히 7월 24일 열린 대한약사회 정기감사에서는 심사보고서 도착 사실조차 보고되지 않았으며, 8월 4일 지부장회의에서도 핵심 내용 공개를 제한한 채 논의가 진행됐다. 서울시약사회는 이 같은 처리 방식을 두고 “회원과의 의견 교환과 내부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소통이 사실상 제한돼, 조직 운영의 기본원칙인 투명성과 절차적 정당성이 훼손됐다”고 비판했다.
이번 공개 질의의 배경에는 권 회장이 올해 3월 취임 직후 해당 사안으로 공정위 현장조사를 받은 사실이 있다. 이후 심사보고서 송부로 공식 절차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이를 단체 내부에 투명하게 공유하지 않은 점이 논란을 키운 것이다.
서울시약사회는 이번 질의를 통해 △공정위 제재 시 법적·경제적 책임이 회장 개인에게 귀속되는지, 아니면 대한약사회 법인에 귀속되는지에 대한 입장과 판단 근거 △심사보고서 주요 내용과 대응방안의 내부 기구 공유·협의 여부 및 향후 계획 △본 사안 처리 과정이 회원 권익 보호와 조직 투명성 원칙에 부합하는지, 유사 사안 재발 방지를 위한 개선책 등 총 3개 항목을 명확히 밝힐 것을 요구했다.
또한 질의서에는 “오로지 회장 개인의 판단으로는 해당 사안을 해결하기 어렵다”면서, 지부장회의에서 자료 공개를 배제한 발언의 실질적 의미와 이행 의지를 분명히 하라는 요청도 담겼다.
서울시약사회는 “이번 질의는 특정인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의무 위반을 단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회무 절차의 적정성과 향후 대응 방향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며, 대한약사회에 질의서 도달 후 1주일 이내 서면 답변을 요청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공정위 심사보고서처럼 단체 전체의 이해관계가 걸린 사안을 지부장들이 공동대응 추진을 요청했음에도, 회장이 책임은 본인이 지겠다며 내용을 제한한 건 회원들 사이에 불필요한 불신을 키울 수 있다”며 “이런 방식이 계속되면 중앙회와 지부 간 갈등이 장기화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대한약사회 권영희 회장은 이번 사안과 관련해 기자단의 질의에 빠른 시일 내 직접 설명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