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 증가와 고령화로 인해 국내 반려동물 시장은 현재 3.4조원 규모로 매년 11.5%가 넘게 급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펫신원인증기술을 통해 반려동물 개체 정보와 건강기록 등의 데이터를 활용해 펫푸드, 보험, 케어, 장례 서비스 등 반려동물 토탈 서비스 플랫폼 기업도 등장하고 있다.
스타트업 투자 전문 엑셀러레이터인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대표이사 배상승, 박제현)이 블록체인 기반의 반려동물 펫(Pet, 애완동물)신원인증 디앱(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 탈중앙화 앱)서비스를 개발한 스타트업 블록펫(Blockpet, 대표이사 박희근)에 투자를 했다고 13일 발표했다.
박제현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 대표는 “2018년 4월에 설립된 블록펫(Blockpet)은 반려동물의 코모양과 안면인식을 이용한 펫신원인증 특허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술력이 뛰어난 스타트업”이라고 밝혔다.
또한 박대표는 “블록펫은 반려동물 개체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관리하여 유기와 실종을 방지하는 한편, 동물 진료정보 또한 블록체인에 기록하여 반려동물 분양시점에서부터 장례까지 전 생애주기 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펫신원인증기술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어 과감하게 투자하게 되었다”고 전했다.
블록펫(Blockpet)은 국내 반려동물 개체수 870만마리에 대해 내장형 전자칩이나 외장형 전자태그없이 간편하게 스마트폰만으로도 반려동물의 생체정보를 등록하고 개체인증을 할 수 있는 핵심기술이다.
펫신원인증기술을 통해 펫(Pet, 애완동물)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빅데이터를 구축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정보를 투명하게 관리하여 유기견을 방지하고 반려동물에 대한 입양 및 분양을 효과적으로 지원함은 물론 반려동물에 대한 평생 생애주기 관리를 본격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블록펫의 핵심기술은 펫신원인증기술(PIAT; Pet Identity Authentication Technology)을 통한 유니크한 ID를 추출하여 블록펫 지갑을 만들고 암호화폐 전송과 반려동물 개체인증에 사용한다.
박희근 블록펫 대표는 “블록펫은 블록체인 기반의 디앱 서비스를 베타 버전으로 출시했으며, 정보통신산업업진흥원(NIPA)으로부터 블록체인 기술검증 지원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되어 총 사업비 4억을 수주하였다. 지난 6월 카카오의 클레이튼 메인넷의 서비스 파트너로도 선정된 바 있다”고 밝혔다.
블록펫 박대표는 “펫신원인증기술을 바탕으로 커뮤니티 서비스를 안드로이드와 iOS 앱서비스로 런칭해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있어 모든 반려동물에 대한 신원 증명과 인증서비스로 자리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반려동물 개체 정보와 건강기록 등의 데이터를 활용해 펫푸드, 보험, 케어, 장례 서비스 등으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블록펫은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 투자를 통해 펫신원인증기술 및 서비스를 더욱 고도화해 나감과 동시에 블록펫 커뮤니티를 확장하고 펫보험에 대한 원스톱 보험 청구와 같은 펫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블록펫은 핵심 펫신원인증기술을 통해 유기견 사전 예방과 함께 반려동물 토탈 서비스 플랫폼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는 현재 블록체인·AI·AR/VR·헬스케어·푸드테크·O2O 플랫폼 서비스를 중심으로 링플랫폼, 헬스체인어스, 시그마체인 등 25개사 이상에 투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