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유방내분비외과 정승필 교수(사진)는 국내 유방암 환자가 5년 사이 30% 증가했다며 정기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고 1일 밝혔다.
유방암은 우리나라에서 여성들에게 발생하는 가장 흔한 암이다. 지난달 25일 발표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유방암 환자의 건강보험 진료 현황’에 따르면 유방암 진료 환자는 2017년 20만6308명에서 2021년 26만9313명으로 30.5% 증가했다.
유방암은 조기 발견이 중요한 질병이다. 유방암 1기에 발견할 경우 완치율이 98%에 가까우나, 4기의 경우 생존율이 30% 미만이기 때문이다. 초기에는 통증이 없는 혹이 만져지는 경우가 많은데, 유방암으로 인한 멍울은 단단하고 불규칙한 모양을 보인다. 유방암이 더 진행되면 유두에서 피 같은 분비물이 나오거나 유두나 피부의 함몰, 유두 주위 피부 습진, 혹은 겨드랑이에서 임파선이 만져지는 증상 등이 나타난다.
정승필 교수는 “유방암은 초기 전조증상이 없다. 증상이 없어도 주기적으로 진단해 초기에 발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유방암 자가 진단 테스트로 한 달에 한 번 정기적인 검사를 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자가 진단 결과 이상이 있거나 정기검진이 필요한 경우 유방암 검사를 받아야 한다. 유방암 검사는 대부분 X-ray를 통해 이뤄진다. 하지만 한국 여성의 경우 유방의 지방이 적고 유선조직이 많은 치밀유방이라 X-ray를 활용한 유방촬영술만으로는 정확도가 떨어진다. 또한, 국내 50대 이하의 여성 50%가 치밀유방이기 때문에 유방암 검사를 할 때는 유방초음파를 함께 하는 것이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유방암은 남성들에게서도 발병한다. 남성 유방암은 전체 유방암의 1~2%이지만, 발견이 늦어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다. 남성 유방암 역시 여성 유방암과 흡사하다. 대개 유두 아래 단단한 혹이 만져져 병원에 오는데, 대체로 남성은 유방 조직이 많지 않고 유방암에 대한 경각심이 낮아 병이 진행된 후 병원에 오는 사례가 많다.
유방암은 재발률도 낮지 않다. 대한외과학회지(ASTR : Annalsㅤ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 올해 1월호에 실린 연구 결과를 보면 전체 유방암 환자 중 12.3%에서 재발이 일어났으며, 수술 5년 이후 재발한 환자는 그중 19.7%로 재발 환자 5명 중 1명은 5년 이후에 재발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 교수는 “유방암은 5년 이후에도 재발과 전이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장기간 관리가 필요하다”며 “고위험 환자의 경우 암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호르몬제를 최대 10년까지 복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방암은 하나의 원인으로 발병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원인이 작용해 발병한다. 아직 완전한 예방법도 제시되지 않은 상황이나, 국내의 경우 40대 이하 젊은 환자의 발생률이 높아, 규칙적인 검진과 함께 평소 유방암 위험인자를 피하는 생활 습관을 통해 유방암을 예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유방암 위험인자로는 비만, 음주 등이 있다. 특히 비만은 폐경 후 여성의 유방암 위험도를 증가시킨다. 폐경을 앞두고 있지 않더라도 운동을 포함한 신체활동은 유방암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환의 발생을 억제해, 규칙적인 신체활동으로 체중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음주의 경우 폐경 여부와 상관없이 유방암 발생을 증가시켜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