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약사회장 선거가 3주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박영달 후보가 과거 한약사를 근무약사로 고용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커지고 있다. 경쟁후보인 한동원 후보는 박 후보의 자진사퇴를 요구하는 한편, 당사자인 박영달 후보는 관련 의혹이 사실임을 인정하며 회원 앞에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한동원 후보 측은 23일 입장문을 통해 “박영달 후보는 후보직을 자신사퇴하라”며 “약사회 수장으로 출마한 인물이 한약 특화 약국을 위해 한약사를 고용했다고 변명하는 모습에 실망감은 배가 됐다”고 비판했다.
한 후보는 “1993년 한의사를 상대로 약사 직능을 지키기 위해 보낸 1년 동안, 약사 직능은 법으로 보장되는 것이 아닌 힘과 정치 논리로 언제든지 뺏길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더 이상 어떤 직능단체도 약사 직능을 넘보지 못하게 약사 직능과 권익을 수호하겠다고 다짐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약사사회에서 가장 큰 현안인 한약사의 일반약 판매 원죄는 일부 약사들이 인건비 절감을 위해 한약사를 고용해 일반약 판매를 시킨 것이 빌미가 됐다”고 “이런 한약사들이 약사 운영약국을 인수하고 약사를 근무약사로 고용해 처방조제 업무까지 함으로써 지금의 비정상적 상황이 일어난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일부 약사들이 사익을 위해 행한 일탈이 지금 전체 약사의 위협이 됐다”며 “박영달 후보도 지금의 한약사 문제에 일조한 셈”이라고 성토했다.
한 후보는 “한약장도 없는 약국에서 한약사만 고용하면 한약 특화가 된다고 생각하는가? 약국에서 한약사를 고용하면 그만큼 약사들이 근무약사로 취업할 기회를 박탈당한다고 생각하지 않는가? 한약사를 근무약사로 고용할 정도로 약사 직능에 대한 인식이 없는 자가 약사 직능의 미래와 발전을 논할 수 있는가? 약국 경영의 개인 이익이 전체 약사 직능 이익보다 우선하는가?”라며 “한약사 근무약사 고용행위는 약사의 중대한 권익 침해 행위이며, 이는 대한약사회 정관규정에 의하면 회장 불신임 사유에 해당한다”고 일침을 놨다.
그러면서 그는 “염치가 있다면 후보직을 자진사퇴해 8,000여 경기도약사회원에게 사죄하라”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박영달 후보는 같은 날 이같은 의혹을 사실이라 인정하며 “회원 앞에 사과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박 후보는 “한동원 후보가 지적한 내용은 명백한 제 잘못이며, 이에 대해 겸허히 수용하겠다. 어떤 변명도 하지 않고 회원 앞에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그는 “수년 전 한약사 문제가 이슈화될 때부터 마음 한 구석이 먹먹했고 죄책감에 시달려왔다”며 “10여년 전 3~4개월 정도 한약사를 고용한 적이 있다. 당시 외부업무가 잦아 약국을 총괄관리하는 근무약사를 고용한 상태에서 한약업무를 담당시킬 생각으로 한약사를 고용했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당시는 한약사라는 직업이 생소하던 때였고 지금처럼 약사사회 현안으로 대두되지 않은 시기라 좀 더 숙고하지 못했다”며 “과거 불찰을 깊이 반성하고 이로 인해 회원들께 심려를 끼친데 대해 다시 한 번 사과드린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경기도약사회장으로서 지난 3년간 한약사 문제 해결을 위해 누구보다 열심히 일해왔다”며 “10여년 전의 과오에 대해 뼈를 깎는 심정으로 반성하고 있고, 지난 과오를 반면교사 삼아 한약사 문제 해결을 위해 전력을 다하겠다. 투표일인 12월 9일 회원의 심판을 받겠다”고 각오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