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가조달 백신 일부가 상온에 노출되는 문제를 노출하면서 백신 물류관리 효율화를 위해 백신 입찰방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관련업계에서는 국가예방접종사업(NIP)용 백신 입찰 제도의 개선 방안으로 권역별 입찰제 도입, 물류비 현실화 등을 제시하고 있다.
백신유통업계에서는 현재 전국 통합 입찰방식을 권역별 입찰제로 바꿔 물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약 2만여개에 이르는 전국 의료기관·보건소에 공급할 때 원거리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물류 난맥상을 권역별로 배분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는 것.
한 백신유통업체 관계자는 “수도권 업체의 경우 강원도나 충남·충북까지는 당일배송이 가능하지만, 그 이상의 원거리 지역은 배송시간 자체가 길어지면서 운송 관리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며 “이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전국을 권역별로 묶어 입찰해 운송 과정의 리스크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권역별 입찰을 실시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권역별 낙찰가 차이에 대해선 보완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또한 백신에 대한 보다 철저한 콜드체인 관리를 위해선 물류비를 현실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NIP용 백신의 경우 보건소를 제외한 병·의원 공급분에 대해 고가의 백신이 아닌 경우 보통 14.5%의 물류비용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백신유통업계에서는 백신은 보관은 물론 운송 과정에서도 철저한 콜드체인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관련 데이터로거를 실시간 관리하고 기록해야 하고, 해당 배송기사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이뤄져야 하기 때문에 업계의 부담을 커질 수밖에 없다고 입을 모은다.
더욱이 NIP용 백신을 공급하는 제약사들이 백신유통업체에 낙찰가 보다 높은 가격에 제품을 공급하면서 백신유통업체가 수익성을 내기 어려운 상황이 되고 있다는 것.
한국의약품유통협회도 이같은 문제를 인식, 업계 간담회를 통해 국가조달 백신 입찰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해 조만간 정부에 의견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의약품유통협회는 배송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역별 입찰제 도입을 비롯해 각 지역 업체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입찰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백신 배송과정에서 효율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선 현실적으로 적정한 유통비용이 입찰 가격에 반영돼야 한다는 의견과 함께 관련 정책 수립 및 결정 과정에 의약품유통업계가 참여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