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이하 센터, 원장 김진석)는 오는 7일 명동에 위치한 포스트타워 19층, 새로운 청로로 이전하여 업무를 개시한다고 1일 밝혔다.
센터는 현재의 건물이 재건축 계획이 있어 불가피하게 이전할 수밖에 없어 환자들의 이용의 편리성을 고려한 최적의 장소를 확보해 이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환자들의 약값 부담을 완화하여 희귀·필수의약품의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해 관세청과 협업을 통한 관세면제 대상약품 확인, 수입경로 다변화를 통한 보험약가 자진인하 등 다양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센터에 따르면, 드라베증후군 치료제인 '디아코미트'와 유전성타이로신 혈증 치료제 '올파딘'의 경우 각각 지난 4월 1일과 5월 1일 보험약가를 자진인하 했다.
디아코미트는 해외 도매상에서 제조사 직수입에 따른 운송비용 절감과 제조사 수출증명이 가능해짐에 따라 한-EU FTA 협정에 따른 관세 면제가 가능해지며, 캡슐당 1만 9160원에서 1만 4700으로 23% 인하됐다.
올파딘의 경우 수입원가와 보험약가의 차이를 조정하기 위해 캡슐당 3만 7386원에서 2만 2420원으로 약 40% 인하했다.
아울러 센터는 관세청과의 협업을 통해 유방암 치료제인 '엔허투'와 알츠하이머 치료제인 '아두헬름'에 대해 관세 감면을 진행했다.
관세청은 의약품을 해외에서 수입할 때 기본세율 8%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다만, 면역물품에 해당하는 경우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데, 엔허투와 아두헬름에 대해 관세 감면을 통한 약값이 인하됐다.
엔허투는 2022년 6월에 관세청에 사전심사를 신청하여 2022년 8월 결과 통보 받았으며, 관세감면을 통해 바이알 당 약값이 54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인하됐고, 아두헬름은 2023년 3월 7일에 관세청에 사전심사를 신청하여 2023년 3월 20일에 결과 통보 받았으며, 관세감면을 통해 바이알 당 약값이 170mg의 경우 204만원에서 190만원으로, 300mg의 경우 344만원에서 320만원으로 인하됐다.
수입면에서도 변화가 일었다.
희귀 부정맥 치료제인 '퀴니딘'의 경우 2022년 6월 산도즈사의 공급중단으로 에픽파마사의 품을 대체약품으로 수입하여 공급하려고 했으나 약값이 기존 약가 5만원/병의 75배 수준으로 환자 부담이 가중된 바 있다.
이에 센터는 지속적인 노력으로 니스코로부터 직접 수입할 수 있는 '니스코퀴니딘'을 발굴함으로써, 약값을 3만 5000원 까지 낮추어 공급할 수 있게 조치를 취한 바 있다.
01 | K-뷰티, 8월 수출도 신기록… 증가율은 둔화 |
02 | 노보, ‘위고비’ MACE ‘젭바운드’ 대비 57% ↓ |
03 | 화장품 기업 75개사 상반기 매출 평균 1926... |
04 | 크로스컴바인·MICS, 오만 무스카트에 K-뷰티... |
05 | 대한약사회, 대학생 대상 ‘성분명처방 광고 ... |
06 | 약사회 “대형 약국 자금 출처 불투명…외부자... |
07 | ADC 신흥강자 '에임드바이오'의 'FGFR3' 타... |
08 | 대한종양내과학회, 창립 20주년 맞아 ‘KSMO ... |
09 | 티카로스, 'CLIP CAR 플랫폼' 우수성 네이처... |
10 | 에이비엘바이오, ABL301(SAR446159) 미국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