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 - 사진 국회 전문기자협의회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이 인슐린 제제 배송과 관련된 일명 ‘콜드체인’에 관해 ‘계도기간 내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내보였다.
7일 오전에 진행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강기윤 국민의힘 의원은 ‘콜드체인’으로 인한 인슐린 공급 문제에 대해 계도기간만으로는 부족하다며 근본적인 해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명 ‘콜드체인’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백신류를 제외한 생물학적제제, 냉장 및 냉동의약품 유통에 있어 자동온도기록장치 또는 일반 온도계를 설치해 운반해야 한다고 명시해 지난 7월 17일부터 시행하고 있는 ‘생물학적제제 등 제조ㆍ판매관리 규칙’에 포함된 내용이다.
강기윤 의원은 “콜드체인으로 인해 지금 당뇨병 환자들을 위한 인슐린제제를 포함해 주사제제 등의 공급에 차질이 있는 것 같다”며 “현재 유예기간을 내년 7월 17일까지 1년 정도 연장했는데, 이는 근본적인 해결방법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강 의원은 이어 “콜드체인을 유지하려면 유통과정에 있는 유통업자들이 시설 보완 등에 적게는 2,000만 원에서 많게는 4,500만 원까지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며, 이로 인한 부담이 굉장히 크다”며 “유통 과정에서 온도 체크도 해야 하고, 납품하는 사람들은 그에 따른 서명도 받아야 하는 등 부수적인 업무들이 늘어나며 유통업체에서는 기피하고 있다”고 현 상황을 설명했다.
이에 대해 “그 결과 유통업체들은 배송을 포기하기 시작했고, 그 피해는 국내 당뇨병을 앓고 있는 국민들이 받고 있다”며 “환자 단체 간에 SNS를 통한 공유로 ‘어느 약국에 가면 인슐린이 있더라’라며 환자들이 직접 인슐린을 찾으러 다니고 있다”며 식약처에서는 단순 계도기간 연장이 아닌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거점 약국, 유통에 관한 부분은 보건복지부 등 유관기관과의 협의와 협동을 통해 해법을 찾겠다”며 “지금 환자들의 심정을 충분히 헤아리고 있고, 이번 계도기간까지는 대책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