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전국에 있는 요양기관 중 의원이 3만3,000여곳으로 가장 많이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는 1만여곳에 가까운 의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는데, 강남구에만 1,800곳이 집중된 것으로 확인됐다. 약국은 2만3,000여곳으로 확인되면서 요양기관 중 두번째로 많이 집계됐다.
약업닷컴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21년 12월 31일 기준 요양기관 개설 현황을 토대로 요양종별‧지역별 분포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전국 요양기관 수는 9만8,479곳으로, 종별로는 ▲의원 3만3,912곳 ▲약국 2만3,773곳 ▲치과의원 1만8,589곳 ▲한의원 1만4,526곳 ▲보건진료소 1,903곳 ▲요양병원 1,464곳 ▲병원 1,397곳 ▲보건지소 1,314곳 ▲한방병원 479곳 ▲종합병원 319곳 ▲정신병원 250곳 ▲보건소 243곳 ▲치과병원 234곳 ▲상급종합병원 45곳 ▲조산원 16곳 ▲보건의료원 15곳으로 확인됐다.
이 중 의원의 지역별 분포 현황은 수도권의 경우 ▲서울 9,189곳 ▲경기 7,487곳 ▲인천 1,633곳 등 총 1만8,309곳으로 확인됐다. 비수도권에는 ▲부산 2,468곳 ▲대구 1,884곳 ▲경남 1,682곳 ▲경북 1,279곳 ▲전북 1,179곳 ▲대전 1,112곳 ▲충남 1,094곳 ▲광주 970곳 ▲전남 962곳 ▲충북 912곳 ▲강원 782곳 ▲울산 618곳 ▲제주 463곳 ▲세종 198곳 순으로 총 1만5,603곳이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이 분포한 약국의 경우 수도권에서는 ▲경기 5,377곳 ▲서울 5,366곳 ▲인천 1,155곳 등 총 1만1,898곳이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에서는 ▲부산 1,620곳 ▲경남 1,346곳 ▲대구 1,323곳 ▲경북 1,094곳 ▲전북‧충남 958곳 ▲전남 833곳 ▲대전 763곳 ▲광주 701곳 ▲충북 699곳 ▲강원 697곳 ▲울산 427곳 ▲제주 305곳 ▲세종 151곳 순으로 총 1,1875곳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에 있는 요양기관은 ▲의원 9,189곳 ▲약국 5,366곳 ▲치과의원 4,902곳 ▲한의원 3,621곳 ▲병원 222곳 ▲요양병원 124곳 ▲한방병원 73곳 ▲치과병원 60곳 ▲종합병원 42곳 ▲보건소 25곳 ▲상급종합병원 14곳 ▲정신병원 12곳 ▲보건지소 8곳 ▲조산원 3곳 순으로 확인됐다.
서울은 강남 3구 위주로 요양기관이 쏠려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요양기관 중 ‘의원’ 분포를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강남구 1,791곳 ▲서초구 721곳 ▲송파구 590곳 ▲강서구 432곳 ▲강동구 398곳 ▲마포구 395곳 ▲영등포구 370곳 ▲노원구 363곳 ▲관악구 334곳 ▲은평구 327곳 ▲양천구 293곳 ▲광진구 275곳 ▲동작구 274곳 ▲구로구 273곳 ▲동대문구 261곳 ▲성북구 253곳 ▲중구 251곳 ▲중랑구 247곳 ▲성동구 225곳 ▲강북구 224곳 ▲서대문구 207곳 ▲종로구 203곳 ▲금천구 167곳 ▲도봉구 164곳 ▲용산구 151곳 순으로 확인됐다.
‘약국’의 경우 ▲강남구 499곳 ▲송파구 389곳 ▲강서구 266곳 ▲영등포구 262곳 ▲서초구 255곳 ▲강동구 253곳 ▲동대문구 237곳 ▲노원구 229곳 ▲관악구 228곳 ▲은평구 217곳 ▲마포구 207곳 ▲성북구 199곳 ▲동작구 193곳 ▲구로구 189곳 ▲양천구 188곳 ▲종로구 182곳 ▲중랑구 179곳 ▲광진구 179곳 ▲강북구 170곳 ▲중구 167곳 ▲서대문구 154곳 ▲성동구 151곳 ▲금천구 128곳 ▲용산구 124곳 ▲도봉구 121곳 순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에는 부천시, 성남시 분당구, 화성시, 남양주시에 요양기관이 집중된 것으로 분석됐다.
부천시에는 ▲의원 521곳 ▲약국 367곳 ▲치과의원 298곳 ▲한의원 218곳 등 총 1,478곳이, 성남시 분당구에는 ▲의원 469곳 ▲치과의원 262곳 ▲약국 254곳 ▲한의원 201곳 등 총 1,217곳의 요양기관이 집계됐다.
화성시에는 ▲의원 394곳 ▲약국 287곳 ▲치과의원 239곳 ▲한의원 156곳 등 총 1,142곳이, 남양주시에는 ▲의원 329곳 ▲약국 253곳 ▲치과의원 208곳 ▲한의원 145곳 등 총 985곳의 요양기관이 분포했다.
경기도에서 상급종합병원은 부천시와 성남시 분당구, 수원시 영통구, 안산시 단원구, 안양시 동안구 등 5곳에만 있으며, 종합병원은 부천시와 의정부시에 각각 5곳, 평택시와 고양시 일산동구에 각각 4곳, 남양주시‧성남시 분당구‧시흥시‧화성시에 각각 3곳 등이 확인됐다.
정신병원의 경우 서울은 전체 요양기관 2만3,661곳 중 12곳, 경기는 전체 2만1,784곳 중 51곳으로, 각각 0.05%, 0.23%의 분포율을 나타냈다. 고령화로 인해 점점 늘고 있는 요양병원의 경우 서울은 124곳, 경기는 319곳으로 경기가 서울의 약 3배 높게 나타났다. 의원은 서울이 경기보다 1,702곳 많았으며, 치과의원과 한의원의 분포는 비슷한 수준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