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여성 소비자들은 스킨케어 제품을 고를 때 ‘효과 체감’과 ‘가격 대비 성능’을 주요 기준으로 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과잉 속에서 직접적인 사용 경험과 현실적인 투자 효율을 중시하는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
일본의 뷰티 커뮤니티 ‘미활부(美活部)’가 최근 전국의 20~40대 여성 5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제품을 선택할 때 고려 요소 26.1%가 로는 ‘가격 및 가성비’를 꼽았다. 이어 ‘사용 즉시 느껴지는 만족감(23.6%)’과 ‘성분·효과에 대한 구체적 설명(18.9%)’을 들었다. 외관이나 브랜드 이미지보다는 피부에 맞는 실질적인 효능과 경제적 지속 가능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드러났다.
일본 20~40대 여성 소비자들이 스킨케어 제품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은 가격 및 가성비인 것으로 나타났다. ⓒ美活部
제품에 표기된 문구 중 가장 구매욕을 자극하는 키워드로는 제품의 기능을 강조한 표현을 선택한 응답자가 45.2%로 가장 많았다. ‘모공 케어’ ‘미백’ ‘안티에이징’ 등 기능을 강조한 단어들을 들었다. ‘민감성 피부 대응’ ‘저자극’ 등 안전한 이미지를 강조한 문구는 18.9%로 2위를 차지해, 효능과 안전성의 균형이 주요 고려 요소로 부상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SNS 화제 제품’ ‘판매 1위’ 등 유행성 키워드는 5.8%에 머물렀고, ‘오가닉’ ‘비건’ 등 자연지향 키워드는 4.2%로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제품 사용 후 효과를 실감한 순간으로는 ‘모공이 눈에 띄지 않게 됐을 때’가 32.8%로 1위를 기록했다. 이어 ‘메이크업 밀착력이 좋아졌을 때(28.7%)’ ‘피부 톤이 밝아지고 투명감이 생겼을 때(27.2%)’ ‘기상 시 피부가 촉촉하다고 느꼈을 때(27.0%)’ 등 시각적 또는 촉각적 변화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단순한 만족도가 아닌, 외부에서 인식될 수 있는 객관적 지표가 효과 판단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스킨케어 제품을 계속 쓰고 싶다’고 느끼는 조건 역시 ‘가격과 품질의 균형이 좋을 것’이 31.8%로 가장 많았다. ‘단기간에 효과를 체감할 수 있을 것(16.9%)’ ‘부담 없이 계속 쓸 수 있는 가격일 것(15.8%)’ 순으로 응답이 이어졌다. ‘사용감이 좋아 꾸준히 쓰게 되는 제품(13.6%)’ 또한 적지 않은 비율을 차지, 장기적 사용성 역시 고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화장품에 대한 정보 획득 경로로는 ‘SNS(Instagram·X 등)’가 33.9%로 가장 높았다. YouTube·TikTok 등의 동영상 리뷰(10.7%), 지인 추천(10.7%)이 뒤를 이었다. 점포 설명이나 카운슬링은 11.6%로, 오프라인 정보 채널로선 상대적으로 높은 신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 소비자들이 스킨케어 제품을 고를 때 외적 이미지나 브랜드 명성보다는 직접 느낄 수 있는 효과와 경제적인 부담 없이 계속 쓸 수 있는 조건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이 드러났다. 특히 효과 중심 키워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짧은 시간 안에 가시적 변화를 기대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으며, 정보 탐색 역시 SNS 기반의 짧은 콘텐츠 소비가 중심이 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띄었다. 보고서는 "시장과 소비자 트렌드에 맞춰 제품의 효과나 성분에 대한 근거를 알기 쉽게 전달하고, 전문가의 정확한 조언을 제공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