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덴마크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가 미국 화이자와 정면 충돌했다.
노보 노디스크는 10월 30일(현지시간) 미국 비만 신약 개발사 메트세라(Metsera)에 대해 65억 달러(약 9조 원)의 인수가치를 제시하며 화이자의 기존 인수 계약을 뒤흔드는 ‘기습 역제안’을 내놓았다.
메트세라는 당초 화이자가 지난달 49억 달러 현금과 최대 24억 달러의 단계별 지급 조건을 포함해 인수를 추진하면서, 이사회가 만장일치로 매각을 승인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노보 노디스크가 제시한 조건은 총 90억 달러에 달하는 규모로, 기존 거래보다 약 20억 달러가 높은 수준이다.
메트세라는 현재 월 1회 투여 가능한 GLP-1 수용체 작용제 ‘MET-097i’의 2b상 임상을 진행 중이다. 이 후보물질은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주사 횟수를 줄여 환자 편의성을 높이는 차세대 파이프라인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아밀린 유사체와 경구형 GLP-1 제형을 함께 개발 중이며, 경구형 제품은 기존 소분자 대비 체중 감량 효과가 우수하고 생산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이자는 즉각 반격에 나섰다.
회사는 공식 성명을 통해 “노보의 제안은 무모하고 전례 없는 행위”라며 “지배적 시장 지위를 이용해 경쟁을 억제하려는 시도로, 법적 위반 소지가 있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화이자는 또 “메트세라는 과거 노보의 제안을 이미 거절했고, 화이자의 인수는 100% 지분 인수를 확실히 보장해주기 때문에 주주들에게 더 높은 확실성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반해 메트세라는 노보 노디스크의 제안을 “보다 우월한 조건”으로 평가하며, 전체 인수가치가 약 90억 달러에 달한다고 밝혔다.
회사는 화이자에 4영업일 내에 더 나은 조건을 제시할 기회를 부여했지만, 화이자는 “메트세라가 기존 계약에서 일방적으로 철회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고 반박했다.
메트세라는 “화이자의 해석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냈다.
이번 사태는 양사 모두에게 민감한 시점에 터졌다. 화이자는 비만 치료제 포트폴리오의 임상 실패로 시장 재진입이 지연된 가운데, 메트세라 인수를 통해 GLP-1 계열 파이프라인을 보완하고 재도약을 노리고 있었다. 반면 노보 노디스크는 자사 블록버스터 ‘위고비(Wegovy)’의 매출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어, 새로운 성장동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신임 CEO 마지아르 마이크 두스트다르는 최근 전 세계 인력 9000명 감축과 세포치료 R&D 부문 철수 계획을 발표하며 사업 재편에 나서기도 했다.
노보 노디스크는 이번 역제안의 배경에 대해 “메트세라의 보완적 파이프라인과 기술 역량을 극대화할 기회”라고 설명했다. 회사는 인수 목적이 “비만과 당뇨병 및 연관 합병증을 앓는 전 세계 환자들에게 보다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치료제를 제공하려는 장기 전략의 일환”이라고 덧붙였다.
결과적으로 이번 인수전은 단순한 금액 경쟁을 넘어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의 판도를 가를 상징적 대결로 평가된다. 현재 GLP-1 계열 약물은 위고비와 일라이 릴리의 ‘젭바운드(Zepbound, 국내 제품명 마운자로)’가 주도하고 있으며, 두 회사의 독주를 견제하기 위한 경쟁사들의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만약 노보 노디스크가 메트세라를 품게 된다면, 주사형과 경구형 GLP-1, 아밀린 병용 전략까지 모두 확보하며 시장 지배력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화이자가 계약을 지켜낼 경우, 오랜 공백 끝에 비만 치료 시장 복귀의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비만 치료제 시장은 향후 2030년까지 약 10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번 인수전은 단기 거래를 넘어 업계의 구조적 경쟁 구도를 바꾸는 계기가 될 가능성이 크다. 메트세라의 선택이 어느 쪽으로 기울지에 따라 향후 글로벌 비만 치료제 산업의 방향성이 달라질 전망이다.
 
| 01 | 제니텍, 콘스텔리움과 특수 알루미늄 합금 ... | 
| 02 | 인트론바이오,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항암 면... | 
| 03 | ‘면역치료 혁신’ 한미 전문가 한자리에…KASB... | 
| 04 | 쓰리빌리언, 폴란드 희귀 폐질환 환자 진단 ... | 
| 05 | 에이치이엠파마, 상장 후 첫 전환사채 납입 ... | 
| 06 | 2024 글로벌 제약사 국내 연구개발, 전년 대... | 
| 07 | 온코닉테라퓨틱스, ‘자큐보구강붕해정’ 품목... | 
| 08 | 넷타겟, 스위스 디바이오팜과 AI 기반 이중 ... | 
| 09 | 상장 뷰티 기업 상반기 이자비용 평균 16억…... | 
| 10 | 한국당뇨협회, 강원도 '국립횡성숲체원'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