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백종헌 의원(국민의힘, 부산 금정구)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ADHD 치료제인 메틸페니데이트가 최근 5년간 총 2억 7천만정 이상 처방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부 잘하는 약'이라는 잘못된 인식이 확산되면서 10대 이하에 대한 처방이 급증하고 있어, 마약류 의약품 과다처방 및 오남용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연도별로 보면 2020년 2,251만정에서 매년 급증해 2024년 7,906만정으로 5년간 3.5배 폭증했다. 환자수도 2020년 110,417명에서 2024년 376,431명으로 3.4배 증가했으며, 2025년 5월 기준 이미 3,839만정이 처방됐다.
메틸페니데이트는 식약처가 지정한 향정신성 마약류 의약품으로, 중추신경을 자극하는 각성제다. ADHD 치료 목적으로만 사용해야 하지만 일부에서 ‘공부 잘하는 약’, ‘집중력을 높여주는 약’으로 잘못 인식되면서 무분별한 처방이 이뤄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10대 이하가 전체 처방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20년부터 2025년 5월까지 10대 이하 처방량은 총 1억 5,085만정으로 전체의 55.8%에 달했다.
2024년 한 해만 봐도 10대 이하 처방량이 4,183만정으로 전체 52.9%를 차지했으며, 환자수는 179,806명으로 전체의 47.8%에 이른다. 10대 이하 환자수는 2020년 65,813명에서 2024년 179,806명으로 2.7배, 처방량은 1,467만정에서 4,183만정으로 2.9배 급증했다.
연령대별 분석 결과, 30대 이하가 전체 처방량의 92.7%를 차지하며 젊은 층에 처방이 집중됐다. 특히 20대 환자가 2020년 26,307명에서 2024년 101,176명으로 3.8배 증가하고, 30대 환자도 11,739명에서 65,783명으로 5.6배 급증했다.
백종헌 의원은 "메틸페니데이트가 5년간 2억 7천만정이 처방됐다는 것은 충격적인 수치"라며 "특히 이 중 절반 가량이 10대 이하에게 처방됐다는 점에서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백“메틸페니데이트가 의존성과 부작용이 있는 마약류 의약품인 만큼 오남용 방지를 위한 처방 기준 강화와 의료용 마약류 관리 체계 재점검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