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이 ‘2025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지수’에서 22개국 중 3위를 차지했다. 2023년 지수에서 세계 12위, 아시아 3위였던 한국은 2025년 지수에서 9단계 상승하며 22개국 중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이뤘다.
싸이티바는 16일 강남 코엑스에서 ‘2025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지수 기자 간담회’를 열고, 글로벌 제약·바이오 산업 트렌드 및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 |
최준호 싸이티바 아태지역 총괄 사장은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지수는 업계가 직면한 도전과 기회를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로, 차세대 의약품을 임상 단계로 앞당길 전략적 파트너십을 마련하는 데 핵심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어 최 사장은 “한국이 인적 자원과 R&D 생태계 투자를 개선해 2023년 세계순위 12위에서 올해 3위로 도약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성과”라며 “싸이티바 역시 내년 새로 개관하는 이노베이션 허브를 비롯한 투자를 통해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지수는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 싸이티바가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 산하 리서치 기관 롱기튜드(Longitude)와 공동으로 2년마다 발표하는 산업 보고서다. 2021년 시작, 올해로 3번째를 맞이했다.
전 세계 22개국의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 경영진 및 전문가 1,250명이 참여해 △공급망 회복력 △인적 자원 △R&D 생태계 △제조 민첩성 △정부 정책 및 규제 △지속가능성 등 6개 분야에 대해 평가한 내용을 바탕으로 국가별, 항목별 지수를 도출했다. 제약바이오산업의 경쟁력과 트렌드를 볼 수 있는 유일한 글로벌 정기 보고서라고 평가받는다.
한국 산업 지수 Key Findings
최 사장 발표에 따르면, 한국의 공급망 회복력 지수는 6.75에서 7.47로 상승했다. 원부자재 다각화와 온쇼어링 전략, 디지털화·Pharma 4.0 도입으로 공정 효율과 예측력이 높아졌고, 미·중 갈등 속 안정적 생산 허브로 주목받았다.
인적 자원 지수는 5.13에서 6.50으로 개선됐다. 정부의 ‘K-바이오 인재양성 프로젝트’와 산학협력 확대로 GMP·디지털·AI 인력 확보가 강화됐으며, 인수합병 시 인재 보호 전략도 주요 과제로 떠올랐다.
R&D 생태계 지수는 5.25에서 6.06으로 상승했다. 정부의 범부처 바이오 R&D 사업 확대와 AI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디지털 기술 통합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국제 공동연구 및 CRO·CDMO 협력이 늘었고, 송도 바이오클러스터는 미국 보스턴 모델을 벤치마크한 성공 사례로 평가받았다.
제조 민첩성은 6.51에서 6.55로 소폭 개선됐다. CDMO 중심 생산역량은 강화됐지만, CGT 등 첨단치료제 제조에서 표준화 부족과 복잡한 공정이 여전히 과제로 남았다.
정부 정책 지수는 6.61에서 6.60으로, 첨단바이오법 시행에도 승인 절차 복잡성과 규제 일관성 부족이 지적됐다.
지속가능성은 5.78로 ESG 경영 확산이 초기 단계에 머물렀으며, 환경 규제 및 인재 확보 한계가 산업 전반의 리스크로 언급됐다.
2025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지수
전 세계 평균 산업 지수는 10점 중 5.96으로, 2023년 지수 6.08에서 소폭 하락했다. 공급망 회복력은 개선된 반면, 인적 자원, 제조 인프라, 정부 정책 및 규제는 여전히 업계의 주요 과제로 꼽혔다.
특히 디지털 기술 통합, 정부 정책 지원 및 규제 혁신 노력, 지속가능성 투자 등이 향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요인으로 지목됐다. 국가별 순위에서 한국은 스위스, 영국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아시아 지역에서 1위로, 싱가포르와 일본이 그 뒤를 이었다.
동시에 정부의 R&D 투자 확대 및 디지털 기술 통합, CRO/CDMO 협력 증대는 글로벌 임상시험 수주 역량을 높이고 R&D 생태계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한편, 싸이티바는 의약품 개발 및 생산에 필수적인 핵심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이다. 현재 전 세계 40개국에 걸쳐 1만5000명 이상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현재 싸이티바는 인천 송도에 APAC 패스트트랙 센터를 운영 중이며, 센터는 바이오 인재 육성을 위한 트레이닝 센터로 전 세계 8곳에서 운영되고 있다.
![]() |
![]() |
![]() |
01 | 굳티셀, 폐섬유증 신약후보 ‘GTC-D1’ 국가신... |
02 | 한국애브비, 피하지속주입치료제 ‘바이알레... |
03 | 약사회 “복지부, 한약사 불법 방치”…정은경 ... |
04 | "민첩, 유연하게" 삼성바이오로직스 BIX2025... |
05 | “한국, 동메달”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지... |
06 | 로킷헬스케어, 미국 대형병원서 당뇨발 재생... |
07 | 뉴메드, 어린이 키성장 원료 ‘HT042’ 미국 F... |
08 | GC녹십자엠에스,분말형 혈액투석제 국산화 성공 |
09 | 퀀타매트릭스,총 480만 달러 규모 'dRAST' ... |
10 | 쓰리빌리언, 미국유전학회서 AI 기반 희귀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