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다이소와 일부 영리형 약국의 등장으로 약국 일반의약품이 과도한 마진을 취한다는 인식이 퍼지고 있다.
그러나 조사 결과, 일반의약품 가격은 수십 년간 물가 상승률을 전혀 따라가지 못해 ‘약국 폭리’ 주장은 허구에 가깝다는 분석이 나왔다.
‘약사의미래를 준비하는 모임’ 박현진 회장(약학박사)은 1979년부터 1998년까지의 신문 광고 자료를 분석해 일반의약품 가격 변동을 조사했다. 여름방학 동안 약대생 20명이 참여한 이번 연구는 의약품 가격뿐 아니라 아파트·자동차·짜장면 등 생활물가와의 비교도 병행했다.
조사 결과 낙센정, 파스류, 종합감기약, 인사돌 등 국민에게 익숙한 일반의약품 다수는 수십 년 동안 가격이 거의 변하지 않았거나 오히려 과거가 더 비쌌다.
반면 같은 기간 아파트 가격은 수백 배, 자동차와 생활물가도 수십 배 이상 올랐다.
예컨대 1981년 낙센정은 1정 250원이었는데 현재도 200~300원 수준에 불과하다. 당시 낙센정 1.5정 가격으로 짜장면 한 그릇을 사 먹을 수 있었지만, 2023년에는 20~30정이 있어야 짜장면 한 그릇을 살 수 있다.
박 회장은 “약국이 폭리를 취한다는 인식은 명백히 허위에 가깝다”며 “오히려 약사들은 국민의 ‘지역 보건 지킴이’로서 가격 인상에 보수적으로 접근해 왔고, 그 결과 일반의약품 가격은 장기간 억제돼 왔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동일 품목 의약품이 약국보다 더 비싼 경우도 적지 않다.
박 회장은 “일반의약품은 낮은 수익성 때문에 제약사조차 외면하는 추세”라며 “기업들이 가격 통제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이나 화장품 시장에 집중하는 현상이 이를 잘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대형 창고형 약국 확산의 위험
문제는 최근 일부 대형 약국과 이른바 ‘창고형 약국’의 등장이 ‘약국 폭리’ 이미지를 확산시키며 기존 지역 약국의 존립을 위협하고 있다는 점이다.
박 회장은 “소규모 지역 약국이 쇠퇴하고 대형 약국 중심의 구조로 재편되면, 결국 이익 극대화를 위한 판매 행위가 강화될 수밖에 없다”며 “그 피해는 국민에게 돌아가고 접근성이 낮은 약국에서 더 높은 비용을 부담하는 상황이 생길 것”이라고 경고했다.
공공정책 통한 접근성 강화 필요
전문가들은 의약품 접근성 강화를 위해서는 편의점 판매 확대가 아니라 공공심야약국과 같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또한 무분별한 가격 경쟁을 방지하고 적정 수익을 보장하기 위해 표준소매가제 부활 검토 역시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박 회장은 “약국의 역할은 단순한 판매가 아니라 안전한 복약지도와 국민 건강 보호에 있다”며 “폭리 프레임을 씌우는 잘못된 시각이 아니라, 지역 약국의 가치를 강화하는 정책적 뒷받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01 | “비만이 전부가 아니다”…한미, 혁신 표적항... |
02 | 아이빔테크놀로지, 자이메디- 한국기초과학... |
03 | 알테오젠, ADC 피하주사 제형 개발 기술 PCT... |
04 | 아세트아미노펜ㆍ백신이 자폐증 원인? 누가 ... |
05 | 닥터노아바이오텍, 코넬대 얀 라머딩 교수팀... |
06 | 미국 캘리포니아 ‘프로포지션 65’, K-뷰티 ... |
07 | 가르시니아 간염 이상사례에 회수…약사회 “... |
08 | 낙센정 값은 그대로, 짜장면은 20배↑…약국 ... |
09 | "나 지금 떨고 있니?" 이오플로우 대표 기소... |
10 | 피알지에스앤텍, ALS 신약 ‘아미소딘' 탄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