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LS(근위축성측삭경화증) 치료의 새로운 접근법이 제시됐다. 핵심은 SOD1(Superoxide Dismutase 1) 단백질 응집이다. 피알지에스앤텍은 SOD1 단백질의 삼합체(Trimer) 형성을 억제하는 기전을 ALS 치료의 새로운 타깃으로 설정했다. 미국 FDA로부터 임상시험 개시 승인도 받아 첫 투약 준비에 들어갔다.
피알지에스앤텍(PRG S&Tech) 우태균 연구팀장은 최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제6회 희귀유전질환 심포지엄’에 연사로 나섰다. 이 자리에서 ‘SOD1 삼합체 억제는 ALS 치료의 새로운 약물 표적으로 제시되고 있다(Inhibition of SOD1 trimerization is a novel drug target for ALS disease)’를 주제로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ALS 신약 후보물질 ‘아미소딘(Amisodin)’의 전임상 연구 성과와 향후 임상 전략이다.
ALS는 발병 후 평균 3~5년 내 사망에 이르는 난치성 신경퇴행질환이다. 전 세계 환자가 30만명 이상으로 추산되지만, 현재 승인 치료제는 모두 증상 진행 지연에 그칠 뿐 신경세포 사멸을 막지는 못한다.
ALS 연구의 가장 큰 난제는 발병 원인이 복잡하고 임상 양상이 다양하다는 점이다. 약 90%가 명확한 유전 원인 없이 발생하는 산발성(sporadic)이다. 나머지 10%는 SOD1, TDP-43, FUS 등 150여개 유전자 변이와 관련된 가족성(familial) ALS다. 발병 기전이 불균일하다 보니, 환자 전체를 포괄하는 치료제 개발은 난항을 겪어왔다.
정상적인 SOD1은 세포 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효소지만, 변이가 생기면 잘못 접힘(misfolding)과 응집(aggregation)을 일으킨다. 이 과정에서 형성되는 ‘삼합체(trimer)’ 구조가 응집의 씨앗(seed) 역할을 하며, 주변 정상 단백질까지 끌어들여 독성 응집체를 확산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우 팀장은 “SOD1 삼합체 억제는 단백질 응집과 전파(propagation)를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혁신적 접근”이라며 “아미소딘은 정상 단백질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병리 단백질만 선택적으로 억제하기 때문에, 가족성과 산발성 ALS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강조했다.
![]() |
미국 1상 시작…"글로벌 기술이전 노린다"
피알지에스앤텍은 ‘SOD1 삼합체(trimer) 억제’를 루게릭병(ALS) 치료 새 타깃으로 설정했다.
아미소딘은 올해 1월 FDA로부터 희귀의약품(ODD) 재지정을 받았다. 같은 해 5월에는 임상 1상 IND 승인도 획득했다. 이어 8월에는 SMP(Study May Proceed) 통보를 받아 임상 진입이 공식 확정됐다.
1상은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 있는 CPC(Pharmaron Clinical Pharmacology Center)에서 건강한 성인 48명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1상은 단일용량상승시험(SAD)과 반복용량상승시험(MAD)으로 설계됐다. 안전성·내약성·약동학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첫 대상자 등록은 이달 말 시작 예정이다.
피알지에스앤텍은 신속히 임상 1상을 마치고 2026년 임상 2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글로벌 제약사와의 공동개발 및 기술이전 협상도 병행할 계획이다. 여기에 아미소딘이 α-synuclein, Tau 단백질 응집도 억제한다는 내부 연구 데이터도 확보, 파킨슨병과 알츠하이머병 등 적응증 확장 전략도 준비 중이다.
탄탄한 데이터로 임상시험·사업개발 뒷받침
아미소딘 전임상 연구 결과가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우 팀장에 따르면, ALS 동물모델(SOD1-G93A 형질전환 마우스)에 아미소딘을 투여한 결과, 척수 내 SOD1 포함체(inclusion body)가 줄고, 신경세포 보존 및 운동 기능 유지 효과가 확인됐다. 회전봉 검사(Rotarod test)와 개방장 검사(open-field test)에서는 대조군 대비 운동성 저하가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특히 생존 기간이 최대 약 26일 연장됐다.
조직 분석(histology)에서도 MAP2, NeuN 등 신경세포 마커를 통한 뉴런 보호 효과가 뚜렷했다. 마이크로어레이 분석(microarray analysis)에서는 축삭 발달·시냅스 안정성 관련 유전자가 회복되고, 신경 염증 반응 관련 유전자는 억제됐다.
아미소딘은 경구 제형(ASD formulation)으로 개발돼 생체이용률이 약 57%에 달한다. 뇌혈관장벽(BBB) 투과율은 뇌/혈장 비율 약 2.1로 확인됐다. 여기에 혈장 안정성, 간 대사 안정성, 단백질 결합률 등 ADME 분석에서도 뚜렷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우 팀장은 “아미소딘은 정상 단백질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변이로 인한 병리 단백질만 선택적으로 억제하기 때문에, 가족성과 산발성 루게릭병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아미소딘은 산발성 환자 다수에서 나타나는 TDP-43 응집까지 억제해 전체 ALS 환자군을 포괄하는 범용 치료제로의 가능성도 열어준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 팀장은 “이번 연구 성과를 토대로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이어가, 환자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아미소딘 전임상 연구 성과는 지난 5월 신경과학 분야 유수 국제 학술지 중개 신경퇴화(Translational Neurodegeneration, IF 15.2)에 ‘Inhibition of SOD1 trimerization is a novel drug target for ALS disease’ 제목으로 게재됐다(https://translationalneurodegeneration.biomedcentral.com/articles/10.1186/s40035-025-00483-8).
![]() |
![]() |
![]() |
![]() |
01 | “비만이 전부가 아니다”…한미, 혁신 표적항... |
02 | 아이빔테크놀로지, 자이메디- 한국기초과학... |
03 | 알테오젠, ADC 피하주사 제형 개발 기술 PCT... |
04 | 아세트아미노펜ㆍ백신이 자폐증 원인? 누가 ... |
05 | 닥터노아바이오텍, 코넬대 얀 라머딩 교수팀... |
06 | 미국 캘리포니아 ‘프로포지션 65’, K-뷰티 ... |
07 | 가르시니아 간염 이상사례에 회수…약사회 “... |
08 | 낙센정 값은 그대로, 짜장면은 20배↑…약국 ... |
09 | "나 지금 떨고 있니?" 이오플로우 대표 기소... |
10 | 피알지에스앤텍, ALS 신약 ‘아미소딘' 탄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