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학교병원 권태협 부장(한국병원약사회 교육이사)은 의료용 마약류 수거·폐기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짚으며, 사업 지속을 위해 환자와 약국을 위한 보상체계 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북대학교병원은 지난해 국내 최초로 병원·약국 협업 모델을 통한 의료용 마약류 수거·폐기사업을 시작했다.
권태협 부장은 최근 전문언론 대상 기자간담회에서 “2024년 7월부터 11월까지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잔여 마약류 여부를 확인하고, 동의한 환자에 한해 약국을 통한 폐기 절차를 안내했다”며 “올해도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사업 추진 과정에서 환자, 약국, 병원 모두의 어려움을 언급했다. 환자의 경우 경제적 손실 우려로 반납을 꺼리는 경우가 많았고, 약국은 보관·관리 부담과 사고 발생 시 책임 우려로 참여에 소극적이었다. 병원 약사들 역시 상담 업무가 추가돼 동기부여나 지원책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컸다.
권 부장은 “필요 없는 마약류 의약품을 폐기하는 것은 환자 안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면서도 “제도적 보완과 경제적 보상이 없이는 지속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환자들 중 상당수는 “언제 다시 쓸 수 있는데 왜 버리냐”며 반납을 거부하는 경우가 있었고, 약국에서도 인센티브가 전혀 없어 참여율이 낮다는 것이다.
성과도 있었다. 그는 “작년 17박스였던 수거량이 올해 8월 말 기준 51박스로 3배 가까이 늘었다”며 “안내와 홍보가 2년 연속 이어지면서 환자 인지도가 높아진 결과”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올해는 예산과 인력 부담 문제로 상담 업무가 빠지고 안내문 배포 위주로 축소됐다. 내년도 사업의 지속 여부도 불투명하다. 이에 대해 권 부장은 “정부가 말로만 인센티브를 고민할 게 아니라 실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환자 보상체계나 약국·병원 인센티브가 제도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그는 “옥시코돈 등 돌발성 통증 치료제 중심으로 잔여 의약품이 발생하고 있다”며 “추후 데이터가 축적되면 특정 약물 중심으로 더 효과적인 안내와 관리가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