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신약개발사업단(단장 박영민)은 23일 웨스틴조선 서울에서 ‘2025 KDDF Co-Development & Partnership for Globalization Symposium’을 개막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 신약개발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고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한 공동개발과 기술거래 활성화를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장에는 국내외 산업계 전문가 300여명이 참석해 높은 관심이 쏠렸다.
이번 심포지엄은 23~24일 이틀간 진행된다. 첫날에는 △국내 바이오벤처의 성과와 비전을 조망하는Korean Biotech Ventures: Achievements and Future Outlook 세션 △글로벌 제약사 사업개발(BD) 전략을 다루는 Strategy to Deals세션 △외부 혁신 협력 사례를 소개하는 From Discovery to Collaboration 세션 △크로스보더 협업의 법적 과제를 짚는 Legal Perspectives on Cross-Border Collaborations 세션이 마련돼 심도 있는 논의가 이어졌다.
이어진 라운드테이블 세션에서는 업계 전문가들이 모더레이터로 참여해 주제별 자유 토론을 통해 다양한 시각과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실질적이고 다각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이 세션에는 법률, 투자 등의 관련 기관도 참여해 논의의 폭을 넓혔다.
둘째 날에는 종일 파트너링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참가 기업들은 1:1 미팅과 네트워킹 세션을 통해 글로벌 제약사 및 투자자와 직접 교류하며, 공동개발 및 라이선싱 협력 기회를 모색하게 된다.
박영민 단장은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국내 신약개발사들이 글로벌 파트너십을 적극 활용해 구체적인 전략을 설계하고, 새로운 기회를 발굴하여 글로벌 진출을 한층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애브비(AbbVie) △아사히카세이(Asahi Kasei) △아스텔라스(Astellas) △비원메디슨(BeOne Medicines) △씨에스엘(CSL) △일라이 릴리(Eli Lilly) △존슨앤드존슨(Johnson & Johnson) △엠에스디(MSD)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 △사노피(Sanofi) △세르비에 (Servier) △타케다(Takeda) 등 주요 글로벌 제약사를 비롯해 △한쿤(Han Kun Law Offices) △아이스 밀러(Ice Miller) △제이랩스(JLABS) △릴리 벤처스(Lilly Ventures) △버디바 바이오(Verdiva Bio) 등이 함께했다.
국내에서는 △대웅제약 △리가켐바이오 △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알테오젠 △에이비엘바이오 △오름테라퓨틱 △유한양행 △차바이오그룹 △휴온스랩 △GC녹십자 △HK이노엔 △LG화학 △SK바이오팜 △기술보증기금 △법무법인(유) 광장 △법무법인(유한) 태평양 △주한호주대사관 등 주요 기업과 기관이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