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큐브,면역함암제 '넬마스토바트' 한국-FDA 제1b/2상 IND 자진취하
바이오마커 기반 임상개발 전략 강화
이권구 기자 kwon9@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08-25 18:13   수정 2025.08.25 18:24

에스티큐브가 면역항암제 ‘넬마스토바트’(hSTC810)의 한국 식약처 및 미국 FDA  제1b/2상 불응성 확장기 소세포폐암(R/R ES-SCLC) 임상시험계획(IND)을 25일 자진취하했다고 공시했다.

자진 취하 사유와 관련, 회사는 " 당사는 바이오마커 기반 임상개발 전략을 강화하기 위해, 현재 진행 중인 임상시험을 조기 종료하기로 결정했다"며 " 특히 BTN1A1 발현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에 연구 역량을 집중해, 정밀의료 기반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임상 시험 제목은 재발성 또는 불응성 확장기 소세포폐암(R/R ES-SCLC)에서 파클리탁셀과 병용하는 hSTC810에 대한 제 1b/2상 임상시험'을 에스티큐브는 해당임상을 한국은 2023년 9월 21일, 미국은 2023년 9월 23일 각각 승인받아 1b상은 최대 12명 2상은 최대 118명을 대상으로 삼성서울병원외 5곳(한국)과 엠디앤더슨암센터(MDACC) 외 2곳9미국)에서 임상을 진행해 왔다. 

회사는 이 임상 제1b상에서 hSTC810과 파클리탁셀 병용 안전성을, 제1b상 및 제2상에서 3개월(12주) 객관적 반응률 및/또는 6개월(24주)의 질병 진행 없는 생존율을 각각 평가할 예정이었다. 

한편  ‘hSTC810’는 2023년 국제일반명이 ’넬마스토바트(nelmastobart)’로 확정돼 WHO에 공식 등재됐다.  넬마스토바트(nelmastobart)는 ‘nelma’라는 고유접두사에 ‘sto(면역활성화)+bart(인공항체)’라는 접미사를 붙인 것으로 ‘면역관문억제제의 새로운 축(New axis for immune therapy)’이라는 뜻이다.

국제일반명(INN)은 세계보건기구(WHO)가 규정한 의약물질에 주어지는 공식명칭으로 성분명 처방제를 시행하는 국가에서 의약품을 상용화하려면 필수로 갖춰야 한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