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기업들의 2분기 성적표가 나오고 있다. K-뷰티의 맏형들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은 희비가 엇갈렸다. 아모레퍼시픽은 글로벌 전지역에서 고르게 성장하며 반등했다. 반면 LG생활건강은 중국 시장 부진 여파로 최악의 점수를 받았다. 하지만 아모레퍼시픽도 죄불안석이다. 최근 유가증권시장에서 시가 총액 1위 자리를 에이피알에 내줬다.
아모레퍼시픽그룹, 영업이익 801억…555.5% 급증
![]() |
아모레퍼시픽그룹은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1조950억원, 영업이익 801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매출은 8.9% 늘었으며, 영업이익은 555.5% 급증했다. 국내외 주요 브랜드 및 핵심 제품의 선전과 중화권 사업구조 개선이 호실적을 이끈 결과다.
주력 계열사인 아모레퍼시픽은 국내 화장품 및 데일리뷰티 사업에서 균형 잡힌 성과를 냈다. 여기에 서구권 시장의 꾸준한 고성장과 중화권에서의 거래 구조 개선 효과가 더해져 매출이 전년 대비 11.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7배 이상 급증했다.
주력 계열사인 아모레퍼시픽은 국내외 시장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아모레퍼시픽 국내 사업의 매출은 전년 대비 8.2%, 영업이익은 164% 성장했다. 해외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4%, 영업이익은 611% 증가했다. 미주 시장은 에스트라, 한율 등 신규 브랜드 론칭과 라네즈, 이니스프리의 지속적인 고성장으로 매출이 10% 증가했다. EMEA(유럽 및 중동) 시장에선 영국을 중심으로 라네즈와 이니스프리의 성과가 두드러지며 매출이 18% 성장했다. 중화권 시장은 거래 구조 개선 효과 덕에 2분기 연속 영업 흑자를 기록했고,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했다. 기타 아시아 지역에서도 라네즈, 에스트라 등의 브랜드가 성장하며 매출이 9% 증가했다.
주요 자회사들도 브랜드 가치 강화 및 채널 효율화를 통해 그룹의 매출과 이익 성장에 기여했다. 이니스프리는 오프라인 매장 축소로 매출이 다소 줄었으나, 전략적 마케팅과 비용 효율화를 통해 영업이익이 개선됐다. 에뛰드는 ‘컬픽스 마스카라’ 등 핵심 제품이 온라인과 MBS 채널에서 좋은 반응을 얻으며 매출과 이익이 모두 증가했다. 에스쁘아는 페이스 메이크업 전문성을 확대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아모스프로페셔널은 고객 접점 확대와 제품 다양화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늘었다. 오설록 역시 럭셔리 티 브랜드 전략으로 온라인·오프라인 매출이 동시에 증가했다.
LG생활건강, 화장품 부문 적자 전환
![]() |
LG생활건강은 2분기 뷰티 부문은 적자 전환했다. 화장품을 담당하는 Beauty(화장품) 사업부의 2분기 매출은 604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4% 감소했고, 163억원의 영업손실이 나면서 적자 전환했다. 국내 헬스앤뷰티(H&B)숍과 북미 아마존, 일본 등 주력 채널에선 성장세가 이어졌으나, 중국 실적이 발목을 잡았다. 해외 매출을 보면 북미(6.4%)와 일본(12.9%)은 선전했으나 중국 매출은 8.0% 감소했다. 국내 면세·방판 채널 재편과 경쟁 심화로 원가 부담도 증가하면서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전 부문 매출 1조3127억원, 영업이익 426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1.5%, 70.0% 감소했다.매출 1조6049억원, 영업이익 548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8% 줄었고, 영업이익은 65.4% 감소하면서 반토막이 났다. 누적은 매출 8747억원, 영업이익 893억원으로 각각 4.2%, 14.4% 줄었다.
에이피알 영업이익 846억 1위 기록
![]() |
에이피알은 2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면서 맏형들을 혼쭐냈다. 연결 기준 매출 3277억원, 영업이익 84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1%, 202% 급성장했다. 영업이익률은 25.8%에 달한다. 영업이익은 아모레퍼시픽을 웃도는 기록이다.
실적 성장은 화장품과 뷰티 디바이스 부문이 이끌었다. 화장품 부문은 전 세계적 K-뷰티 인기 확산에 힘입어 2분기 매출 227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뷰티 디바이스 부문 역시 전년 대비 32% 증가한 900억원의 분기 매출을 올렸다. 대표 제품 부스터 프로와 에이지알(AGE-R) 라인이 글로벌 판매를 견인하고 있으며, AGE-R은 지난 5월 누적 400만대 판매를 돌파했다.
해외 시장의 확장도 두드러졌다. 2분기 해외 매출 비중은 78%로, 1분기에 이어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특히 미국은 2분기 전체 매출의 29%를 차지하며 국내 매출을 앞질렀고, 상반기 누적 매출은 1600억원을 넘어섰다. 일본 시장은 전년 대비 366%의 성장을 기록했고, 유럽도 발주량 증가에 따라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에이피알은 지난 6일 종가 기준 시총이 7조9322억원으로, 기존 업종 1위였던 아모레퍼시픽(7조5339억원)을 넘어섰다. LG생활건강(4조6386억원)은 이미 지난 6월 제쳤다.
01 | 지아이바이옴, ‘지아이롱제비티’ 새출발..항... |
02 | 유럽연합, 식품 금지 부형제 ‘TiO2’ 의약품... |
03 | 진스크립트, 새로운 로고와 함께 브랜드 리... |
04 | "임상 분석부터 전략·사업까지" 휴사이언스-... |
05 | 알파고? Z세대 뺨칠 구매력 보유 알파세대 고~ |
06 | [인터뷰] 복합발효로 차별화… 락토셀 '유산... |
07 | “2033년 건보 적자 30~40조…보험료율 인상·... |
08 | K-뷰티 위상 더 올라갔다… 해외 인식도 조사... |
09 | 2분기 아모레G 웃고 LG생건 울어…중국 실적... |
10 | 글로벌 제약사 구조조정 도미노…노보 노디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