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이코노미가 온다] 신약 강국 일본도 '바이오경제' 대전환 나선다
일본 최대 경제단체 바이오경제 위원회 신설, 정부에 여섯 가지 목표 제안
권혁진 기자 hjkw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3-03-24 06:00   수정 2023.03.24 09:11

바이오 분야 최대 라이벌로 꼽히는 일본에서 바이오경제 전환의 움직임이 감지됐다. 특히 '바이오의약' 분야에 범정부적인 지원과 규제 완화가 예상돼 귀추가 주목된다.
 
일본 최대 경제단체인 일본경제단체연합회(經濟團體聯合會, 이하 게이단렌)는 최근 미국의 바이오경제 행정명령에 대응할 수 있는 일본 바이오경제 대전환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게이단렌의 이런 움직임은 지난해 미국과 중국의 바이오산업 전반에 걸친 정부 차원의 집중 지원 정책에 따른 일본 바이오산업 위기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23일 평가했다.

센터는 “일본은 의료 분야에 글로벌 강대국으로, 신약 개발이 가능한 몇 안 되는 국가로 최근 바이오의약 분야의 핵심인 세포치료제의 우수한 기술력까지 확보했다”면서 국내도 이에 대응하는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일본 게이단렌은 바이오 대전환을 위해 ▲바이오기술을 통한 가치 창출 - 생태계 조성 ▲바이오기술을 통한 국민의 생명 보호 - 경제적 안정 확보 ▲바이오기술로 세계 진출 - 글로벌 룰 제정 ▲바이오기술을 중요한 국가적 이슈로 만들기 - 컨트롤타워에 의한 정책 집중화 ▲바이오기술 전반 지원 - 국민 이해도 제고 등 5개 전략을 제안했다.

특히 바이오의약 분야 세부 추진 목표로는 △재생의료 제품 등에 관한 법률 및 규정의 국제 조화 △신약개발 벤처 지원사업의 민첩성 강화 △바이오의학 추진을 위한 보조기술 강화 및 산업활동 종합 지원 △재생의료제품의 가치와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가격산정법 도입 △전장 유전체 분석 등의 실행 계획 가속화 △임상시험 환경의 개선을 설정했다.

센터는 게이단렌이 지적한 세부 추진 사항들이 국내 바이오산업에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되는 부분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센터 관계자는 “전 세계적인 바이오경제 대전환 속에서, 한국은 바이오경제 실현을 위해 법·제도, 콘트롤타워 등이 제대로 갖춰졌는지, 바이오 강대국으로 성장하기 위해 보완 및 필요 사항은 무엇인지 점검해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도 전 세계적인 바이오경제 대전환 기조에 맞춰 바이오의약 분야 육성 행보에 시동을 걸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대선 정책 공약을 통해 바이오헬스 산업을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다. 윤 대통령은 최근 바이오경제 체제 신속 대응 방안을 지시했고, 이에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달 28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범부처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회의에서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을 보고했다.

조 장관은 “향후 5년 내 글로벌 블록버스터급 신약 2개를 창출하고, 의료기기 수출을 세계 5위 수준까지 끌어올릴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이를 위해 바이오헬스 첨단 전문인력 양성과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바이오헬스 규제 개선 혁신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일본 정부는 2019년 '바이오 전략'을 수립했으며, 오는 2030년까지 세계 최첨단의 바이오경제 사회 실현 목표를 세웠다. 특히 지난해 6월 일본 내각은 '바이오 전략'의 세부 사항인 '경제 재정관리 및 개혁 기본방침 2022'를 통해 △양자·AI(인공지능)를 기반으로 한 바이오 제조 △재생의료 △세포치료 △유전자치료를 중심으로 바이오기술과 의료분야를 국익과 직결되는 과학기술 분야로 채택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