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성인들 가운데 21%가 “아마도”(probably not) 또는 “절대로”(definitely not)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지 않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18~29세 연령대에서 24%, 30~44세 연령대에서 23%, 45~60세 연령대에서 22%가 “아마도” 또는 “절대로” 코로나 백신 접종을 거부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60세를 초과한 연령대에서는 16%만이 코로나 백신을 접종받지 않겠다는 의향을 드러내 백신 접종을 거부한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음이 눈에 띄었다.
이 같은 사실은 메릴랜드州 베데스다에 소재한 컨설팅기관 아반트 헬스社(Avant Health)가 현재 미국 전체 인구의 연령대별‧성별 분포도에 따라 선정한 총 1,118명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지난달 17일 온라인상에서 진행한 후 5일 공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밝혀진 것이다.
조사결과를 보면 7%가 이미 코로나 백신을 접종받은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49%는 “확실히 접종받을 것”이라고 답했고, 23%는 “아마도 접종받을 것”이라고 밝혀 높은 접종의사를 내보였다.
백신 접종에 대해 부정적인 답변을 내놓은 21%의 응답자들을 유형별로 보면 “아마도” 또는 “절대로” 접종받지 않겠다고 답한 비율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 응답자들의 17%와 여성 응답자들의 25%가 “아마도” 또는 “절대로” 코로나 백신을 접종받지 않겠다고 답변해 다소의 차이를 드러냈다.
인종별로 보더라도 흑인 응답자의 35%와 백인 응답자들의 20%가 “아마도” 또는 “절대로” 코로나 백신을 접종받지 않겠다고 답한 가운데 히스패닉系와 아시아系의 경우 이 같이 답변한 비율이 각각 16% 및 11%에 그쳐 코로나 백신 접종 의향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전체적으로 보면 상대적으로 교육수준이나 가계소득이 낮은 그룹에 속한 이들의 코로나 백신 접종 거부율이 높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여 주목되게 했다.
코로나 백신 접종에 대해 부정적인 답변을 내놓은 이유들로는 신뢰감의 부족, 안전성에 대한 우려, 그리고 백신 개발이 너무 서둘러 진행됐다는 느낌(rushed development)이라는 점을 꼽은 이들이 가장 많았다.
이 때문일까? 41%의 응답자들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입원할 위험성에 대해 걱정하지 않는다는 반응을 보여 눈길을 끌었다.
입원 위험성을 걱정하지 않는다고 답한 이들 가운데 26%가 “너무 걱정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15%는 “전혀 걱정하지 않는다”고 답했을 정도.
이에 비해 23%는 입원 위험성에 대해 “대단히 걱정스럽다”, 34%는 “어느 정도 걱정스럽다”고 응답해 온도차를 드러냈다.
아반트 헬스社의 시바 나라야난 대표는 “현재의 판데믹 상황을 종식시키기 위해 코로나 백신 접종률을 높이려는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는 상황에서 충분한 수준의 백신 접종이 이루어지고 ‘코로나19’ 이전의 정상적인 일상으로 되돌아가겠다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으려면 모두가 혼연일체가 되어(concerted) 교육과 공공의 인식제고를 위한 캠페인이 전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사회계층간에 나타나고 있는 간극을 메우고, 성인 5명당 1명 꼴로 나타난 코로나 백신 접종 거부 의향자들의 마음을 돌려놓아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01 | 코아스템켐온, WFIRM·ReMDO 사절단 '오송 제... |
02 | SK바이오팜, 전신 발작 뇌전증 3상 탑라인 ... |
03 | 네이처셀 "미국에서 생명의 빛을 밝히겠습니... |
04 |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세종 1공장, 유라시아 ... |
05 | 엔테로바이옴, 아커만시아 기반 ‘호흡기 건... |
06 | 뉴로핏, ‘아쿠아 AD 플러스’ 혁신의료기술 ... |
07 | 핀테라퓨틱스, 글로벌 비임상 CRO 크라운바... |
08 | 수젠텍, 브라질 뎅기 진단 제품 허가 획득 |
09 | FDA, 미국 머크ㆍ다이이찌 산쿄 ADC ‘혁신 ... |
10 | 원텍, 중국 합작법인 기술이전료 75억 원 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