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은 첩약 급여화 시범사업에 대해 반대하며 총파업을 선언한 의협에 대해 강력 대응할 것을 밝혔다.
대한한의사협회(회장 최혁용)는 양의계가 의사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설립, 첩약 건강보험 급여화 시범사업 실시에 극렬 반대하며 총파업을 선언한 가운데 인터넷을 중심으로 악의적인 한의약 폄훼 가짜뉴스와 혐오를 조장하는 내용의 게시물들이 증가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선처 없는 강력한 대응할 것이라고 선포했다.
또한,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의결에 따라 오는 10월부터 시작되는 첩약 건강보험 급여화 시범사업의 성공적인 시행에 최선을 다할 것임을 선언했다.
대한한의사협회는 양의계가 주장하는 ‘4대악 의료정책’은 이미 오랜 기간 동안 충분한 검토와 논의를 거친 내용들로, 이제 와서 갑자기 양의계가 반발하며 총파업을 운운하는 것은 무책임한 처사라고 지적했다.
‘의사정원 확대’ 경우, 2017년 기준 우리나라 의사 수가 OECD 평균인 3.4명의 70% 수준인 2.3명(한의사 포함)에 불과하다는 통계가 말해주듯 의사 증원이 시급한 상황이며, 양의계 내부에서도 이 같은 주장이 나오고 있다는 것.
한의협에 따르면 ‘비대면 진료 활성화’와 ‘공공의대 설립’ 경우에도 이미 박근혜 정부시절인 2014년과 2016년 발표되어 논의돼 온 사안이며, ‘첩약 급여화 시범사업’은 지난 2012년, 시행을 목전에 뒀다가 무산된 후 최근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된 정책이다.
한의협은 "이런 정책이 이제 막 발표된 것처럼 ‘4대악’으로 스스로 칭하며 평가절하 하는 것은 결국 본인들이 하고 싶은 이야기는 의사정원 증가에 반대한다는 것 한 가지에 불과함을 여실히 드러내는 것이며, 이처럼 말이 안되는 거짓을 합리화 시키려니 가짜뉴스나 의료괴담이 횡행하는 사태를 가져오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의협에 따르면 인터넷 각종 포털사이트와 온라인 카페, SNS 등에는 의사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첩약 건강보험 급여화 시범사업 실시 등과 관련하여 한의약을 폄훼하는 가짜뉴스와 한의사의 명예를 훼손하는 내용의 게시글들을 적잖이 확인할 수 있다.
문제는 해당 게시글 대부분이 양의사들로 구성됐거나 양의사들이 참여하고 있는 친양방 단체들의 이름으로 버젓이 배포돼 무차별적으로 확산되면서 한약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한의사를 조롱하고 험담하는 악의적인 내용으로 번져가고 있다는 것.
특히, 첩약 건강보험 급여화 시범사업과 관련한 가짜뉴스는 그 정도가 심각한 수준이다. 한 자료를 예를 들어보면 ‘항암제도 비급여라서 못 쓰고 죽어가는 환자들도 있는데 검증도 안 된 한약에 세금을? 중금속 허용치 50배 높은 한약을 급여화한다고?’라는 표현이 나오는데 이는 모두 명백한 거짓이라고 한의협의 강조했다.
이밖에도 대한한의사협회는 ‘첩약 급여화가 되면 최혁용 대한한의사협회장만 이득이다’, ‘한의사와 한의대는 모두 없애야한다’는 등의 비이성적인 인신공격이나 비아냥거림의 내용을 담은 게시글들에 대해 협회 차원에서 법적 조치를 포함한 최고 수위의 대응에 나설 것임을 분명히 했다.
대한한의사협회는 “양의사들의 집단휴진 선언과 맞물려 이 같은 악의적인 가짜뉴스와 거짓정보들이 인터넷에 돌고 있는 것이 심히 우려스럽다”며 “양의계는 이 같은 가짜뉴스에 스스로 현혹돼 집단행동에 나서는 우를 범하지 말고 지금이라도 국민을 먼저 생각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첩약 건강보험 시범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돼 국민의 건강증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모든 조치를 취해야 하며, 한의계도 모든 역량을 모아 진료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