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뇌질환센터는 환자에게 흔히 관찰되는 기억력장애나 보행장애, 연하장애 등의 증상 조절을 위해 신경과와 신경외과, 병리과, 정신건강의학과, 재활의학과 전문의들이 협진을 통해 체계적 진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치료의 최적기로 알려진 초기 진단이 중요한 치매와 파킨슨병의 경우, 세밀한 조기 진단을 통해 환자의 장기적인 예후 평가를 통한 개인별 맞춤 치료도 시행한다.
심장혈관센터는 급성심근경색 등 심혈관 응급환자를 위한 24시간 전문 의료진이 상주하고 있어 응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다. 심장혈관센터에서는 심장혈관 분야 전문가들의 다학제 협진을 시행하여 진단에서부터 치료, 재활까지 모든 단계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센터 내 검사와 진료, 예약, 결과 확인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환자가 진료를 보며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화했다.
이와함께 전 병동을 대상으로 한 입원전담전문의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내과계, 외과계, 뇌신경, 재활, 정신과 분야에서 입원전담전문의들이 전 병동에 배치되어 환자의 진료 전반의 과정을 책임지고 관리하는 입원서비스를 제공한다. 외래부터 수술, 입원까지 전 과정에서 전문의가 책임지고 관리하기에 환자들은 더욱 회복에 집중할 수 있다.
입원 환자의 위험을 조기에 발견해 대처하는 신속대응팀도 발족해 운영 중이다. 마취통증의학과 교수 4명과 호흡기알레르기 내과 교수 2명, 간호사 2명 등 총 8명의 의료진으로 구성된 신속대응팀은 환자의 이상징후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사건 발생 전부터 환자를 관리한다. 중증환자 지표 모니터링 시스템(RRS)로 파악된 환자의 활력 징후와 의식상태는 조기경보 시스템과 전산 스크리닝 프로그램을 통해 점수화돼 신속대응팀 의료진의 휴대전화로 실시간 전송된다. 신속대응팀은 환자의 위험도를 판단해 위급상황이 발생하기 전 환자를 미리 치료함으로써 안전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용인세브란스병원은 현재 디지털 솔루션 구축과 의료산업화 연구와 사업을 총괄하는 디지털의료산업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는 디지털 혁신병원으로 △시스템 인프라를 구축, 신기술 도입을 위한 환경 조성 △R&D 전담 인력의 연구용 빅데이터 취합 등 솔루션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병원측은 이 디지털의료산업센터를 통해 산학연 융합 거점으로 디지털 의료 ICT 국책 과제 수주, 범 임상과 차원의 병원 R&D, 유의미한 학술 연구 수행과 바이오헬스기업과의 발전적 산업생태계 조성을 통해 의료산업의 새로운 수익 모델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한다.
한편 용인세브란스병원은 개원 기념 봉헌식을 25일 오후 3시부터 용인세브란스병원 대강당에서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