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개부 장치(palatal plates)를 이용한 성장기 주걱턱 환자 치아 교정법이 기존 치료 방식보다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국윤아 교수·이유선 치과 전문의 연구팀은 40명의 환자를 구개부 장치를 이용한 ‘페이스 마스크(구강 외 교정장치)’로 치료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연구팀은 구개부 장치를 이용해 페이스마스크로 치료한 8세~13세 환자 그룹 20명과 기존의 치아 지지형 장치 페이스 마스크 치료 환자 그룹 20명으로 나눠 상악골(위턱뼈)이 성장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끌어당기는 전방 견인 치료를 진행했다.
구개부 장치는 환자의 입 천장에 교정용 나사를 이용해 주걱턱 교정 플레이트를 식립 후, 플레이트에 고무줄을 걸어서 기존의 페이스 마스크 치료를 치아 지지형 장치가 아닌 골 지지형 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장치다.
그 결과, 구개부 장치를 이용한 그룹에서는 상악골이 평균 2.3mm 전방 견인됐지만, 치아 지지형 장치를 이용한 그룹에서는 평균 0.9mm의 상악골 전방 견인이 관찰됐다. 또 구개부 장치를 이용한 환자 그룹에서는 불필요한 치아의 이동도 관찰되지 않아 보다 효과적으로 상악골 전방 견인 치료가 됐음을 확인했다.
국윤아 교수는 “기존의 치아 지지형 장치를 이용한 페이스 마스크에서는 치료 중 치아가 고무줄의 힘에 의해 원하지 않은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지만, 이번에 개발한 구개부 장치 이용 페이스 마스크 치료는 기존 방식보다 상악골이 더 많이 전방으로 견인될 뿐 아니라 원치 않은 치아의 움직임도 적고, 성장기 환자의 안모 개선 효과도 상당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주걱턱은 골격의 문제로 어릴 때 발견 해 턱 성장을 조절하며 치료가 필요하므로, 만 6~7세에 치과 검진으로 주걱턱을 조기에 발견하고 성장이 끝날 때까지 약 10년 동안 의사와 환자가 충분히 소통을 하며 치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교정학회지 정식게재에 앞서 온라인에 게재됐다. 동시에 10월호 이달의 영상으로 선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