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 향후 공적마스크 포장단위 통일·규정 간소화 등 필요
서울시약, 회원 대상 설문결과 피로도 불구 약국 공적 역할 긍정 평가
김정일 기자 jiki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0-06-18 06:00   수정 2020.06.18 07:08
약국 공적마스크 판매와 관련해 적절한 보상과 함께 포장단위 통일, 판매 규정 간소화 등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다.


서울특별시약사회(회장 한동주) 정책위원회(부회장 추연재·위원장 오혜라·장보현)는 최근 실시한 공적마스크 관련 회원 설문조사 결과 서울시 약사 10명 중 9명은 지난 4개월간 약국에서 이뤄진 공적마스크 공급이 코로나19 감염병 예방과 마스크 수급 안정화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9일부터 13일까지 5일간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설문 대상자 개국·근무약사 5,447명중 2,501명(45.9%)이 응답했다

설문결과 앞으로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위기가 발생해 마스크 대란이 재발할 경우 약국의 공적마스크 공급이 필요하다고 답한 회원은 65.9%(1,647명)으로, 5점 만점에 전체 평균 3.74점으로 공적판매처로서 약국의 역할에 대한 필요성에 동의했다.

또한 응답 회원의 92.5%(2,134명)는 약국을 통한 공적마스크 판매제도가 감염 예방과 마스크 공급 안정화에 기여했다고 답했다. 5점 척도로 환산하면 전체 평균 4.65점으로 긍정적 응답 비율이 매우 높았다.

공적마스크 업무로 약사·약국에 대한 국민의 긍정적 이미지 형성과 약사·약국의 사회적 역할을 확대하는 제도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한 회원은 각각 69.0%(1,727명)와 57.7%(1,444명)로 나타났다.

공적마스크 판매로 인한 수익 연관성은 적다는 응답이 많았다. 약국 수익에 도움이 됐다고 답한 회원은 20.9%(522명)에 불과한 반면,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의견이 절반에 가까운 48.4%(1,211명)를 차지했다.

공적마스크 업무에 참여했던 이유로는 약국의 공적인 역할이 컸던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 경제적인 측면보다 공적인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응답 회원이 58.3%(1,457명)로, 전체 평균 3.64점으로 긍정 비율이 높았다.

이에 회원 57.5%(1,438명)가 공적마스크 업무로 국민건강과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는 개인적인 보람을 느꼈다고 답했다. 전체 평균 3.54점이었다.

공적마스크 업무에 있어 가장 힘들었던 점은 ▲매번 바뀌는 마스크 제조사/포장단위/KF종류 입고 20.7%(1,061명) ▲잦은 전화·방문 문의 및 응대 19.0%(976명) ▲마스크 소분 15.6%(800명) ▲조제·의약품 판매 업무마비 15.0%(771명) ▲마스크 구매자의 불쾌한 태도 13.3%(684명) ▲자주 바뀌는 판매제도 11.2%(575명) ▲신분 확인 및 전산입력 265명(5.2%) 순이었다(중복응답).

이번 설문조사에서도 공적마스크 공급제품과 소분작업, 마스크 구매자 응대와 마찰, 약국 기본업무 마비 등 현장에서 감수했던 회원들의 고충과 민원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앞으로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위기가 발생해 마스크 대란이 재발할 경우 약국의 공적마스크 공급이 필요하다고 답한 회원은 65.9%(1,647명), 전체 평군 3.74점으로 공적판매처로서 약국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 공적마스크 판매제도의 개선을 필요하다고 의견이 강하게 제기됐다. 우선 적절한 보상 33.7%(844명), 마스크 포장단위 1매 또는 3매 등 통일 28.5%(713명)을 꼽았다. 이어 판매 규정 간소화 20.3%(506명), 약국 사정에 따른 판매여부 선택 여건 조성 8.9%(223명)였다.

만약, 확진자 증가와 마스크 수급문제로 공적마스크 재취급할 경우 참여하겠다는 회원은 61.4%(1,541명), 중단하겠다는 회원은 38.4%(960명)이었다.

참여 응답자의 74.0%(1,140명)는 지역사회 마스크 수급 및 감염병 예방의 기여 때문이라고 답했으며, 중단 응답자의 이유는 공적마스크 판매과정에 겪는 스트레스 39.8%(382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보현 정책이사는 “회원들이 누적되는 업무와 피로를 감수하며 코로나19 확산 방지와 예방, 마스크 안정화에 기여한 만큼 면세 등 적절한 보상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감염병 방역체계에서 약사·약국의 역할의 재정립과 제도적 뒷받침이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