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노스메드, 이스라엘서 ‘KM-819’ 파킨슨병 등 '용도 특허' 등록
PCT 특허 출원 국가들 중 멕시코, 러시아에 이어 이스라엘에서도 특허 획득
권혁진 기자 hjkw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4-01-23 17:46   

카이노스메드는 임상 2상 진행 중인 파킨슨병과 다계통위축증(MSA)을 포함한 뇌신경계 질환 용도에 대한 ‘KM-819’의 특허가 이스라엘에서 등록됐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전 세계 국제 PCT 출원 국가 중 멕시코, 러시아에 이어 세 번째로 등록 허여를 받은 것이며, 카이노스메드는 주요 선진시장인 미국과 유럽 등 다른 국가에서의 특허 허여도 기다리고 있다.

카이노스메드에 따르면 KM-819의 효능은 신경 세포의 사멸을 억제시킨다. KM-819는 신경세포 보호 효과는 물론 세포 내의 알파시뉴클레인의 축적을 저해해 이로 인한 세포에 대한 독성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알파시뉴클레인이라는 단백질은 신경세포 내에서 비정상적인 구조가 일단 형성되면 세포 내에 축적이 되고, 이들이 세포내의 여러 정상작용을 저해해 독성을 나타낸다. 이로 인해 파킨슨병, 다계통위축증, 루이소체치매(Dementia with Lewy Body) 등 시뉴클레이노질환군(synucleinopathy) 이라는 여러 질환을 유도하는 주요 병인으로 알려졌다.

카이노스메드 관계자는 “KM-819는 FAF1 이라는 타겟 단백질을 저해해 세포 내에 오토파지(autophagy)라는 세포 내의 특수작용을 증가시켜서 축적된 독성 알파시뉴클레인 단백질을 분해해 없앤다”면서 “KM-819 는 세포사멸 저해와 알파시뉴클레인의 분해의 두 가지 작용으로 파킨슨병과 같은 진행성 질환을 막는 질환조절치료(disease modifying drug) 접근의 약물”이라고 강조했다.

카이노스메드는 KM-819의 실험적으로 입증된 효과로 파킨슨병뿐만 아니라 다계통위축증과 루이소체치매 등 여러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적응증 확대 효과가 클 것이라는 입장이다.

KM-819는 다계통위축증으로는 국내에서, 파킨슨병으로는 미국에서 임상2상을 진행 중이다. 미국 임상의 경우 Part 1a 결과 세 가지 용량 모두에서 부작용 없음을 확인하고 다음 단계인 2상 Part 1b을 통해 진행 중이다. 올해 중 후반에 파킨슨병 환자 대상 2년간의 Part 2 치료 임상이 시작될 전망이다.

카이노스메드 관계자는 “KM819의 글로벌 특허 확보가 확대되면서 국제적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국내 및 미국 임상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어 에이즈치료제 KM-023에 이어 혁신적인 신약 개발 성공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다계통위축증 및 파킨슨병 치료제 시장규모는 지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회사에 따르면 다계통위축증은 주요 7개국 시장 중심으로 2019년 약 1900억원의 약물시장이 형성돼 있으며, 연간 4%씩 성장해 2032년 약 3200억원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파킨슨병 치료제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19년 35억 달러(4조 5500억원)에서 2029년 115억 달러(14조 9500억원)로 연평균 12.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이 2019년 기준 약 18억 달러(2조 3400억원)로 전체 파킨슨병 시장의 51.5%를 차지하고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