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MSD제약 자누비아(성분명 시타글립틴) 특허가 9월로 만료되면서 많은 제약사들이 시타글립틴 복합제를 경쟁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1조 3000억원에 달하는 국내 당뇨병 치료제 시장 선점을 위해 최근 시타글립틴을 활용한 3제 복합제를 잇달아 내놓고 있다. 지금까지는 DPP4+메트포르민 등 2제 복합제가 대세였다.
대원제약은 당뇨병 3제 복합제인 다파시타엠서방정(성분명 다파글리플로진, 시타글립틴, 메트포르민) 4개 용량 제품을 새롭게 출시한다고 5일 밝혔다.
지난 4월부터 당뇨병 치료제 병용 급여기준 확대·적용 후 많은 제약사들이 DPP-4와 SGLT-2 복합제 출시를 준비하고 있으나, 메트포르민까지 더해진 3제 복합제로 허가를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회사는 전했다.
다파시타엠서방정 10/100/1000mg은 3제 당뇨병 복합제임에도 기존의 2제 당뇨병 복합제와 유사한 크기로 출시해 복용 편의성을 높였다. 이와 함께 작은 크기의 알약을 선호하는 환자들의 복용 편의성을 고려해 동일 조합, 낮은 용량, 작은 크기의 다파시타엠서방정 5/50/500mg도 함께 출시했다. 사이즈가 큰 알약 복용에 거부감을 느끼는 환자들의 복약순응도를 높여 줄 효과적인 대안을 고민한 결과다.
![]() |
이 외에도 대원제약은 다파시타엠서방정 5/50/750mg, 다파시타엠서방정 5/50/1000mg 등을 포함해 총 4개 용량의 3제 복합제에 대한 허가를 받았으며, 다파시타정 10/100mg 2제 복합제도 함께 출시했다.
대원제약 관계자는 “메트포르민 포함 3제는 단 한 알로 당뇨병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복용 편의성 면에서 획기적”이라면서 “다파시타 패밀리가 당뇨병 환자를 위한 우수한 치료제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미약품은 시타글립틴과 다파글리플로진 기반 단일제와 다양한 복합제를 여러 용량으로 만들어 패밀리 제품군을 구성, 동시 출시했다.
총 4개 제품군 9개 용량으로 ‘시타패밀리’'실다파패밀리’로 별칭이 붙여진 이 제품들은 당뇨병 치료제 시장의 강력한 선두 주자로 떠오를 것으로 회사는 기대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시타글립틴 성분의 당뇨병 치료 단일제 및 복합제 등 2개 제품군은 ‘시타패밀리’로 묶어 출시했다.
시타패밀리는 DPP-4i 계열의 시타글립틴 단일제인 시타정 2개 용량(50mg, 100mg)과 시타글립틴에 또 다른 당뇨병 치료제 성분인 메트포르민을 결합한 복합제 시타메트XR서방정 3개 용량(50/500mg, 50/1000mg, 100/1000mg)이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 시타패밀리와 실다파패밀리는 복약 편의성을 개선시키면서 환자 맞춤형 치료 실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림바이오텍은 당뇨병 치료제 ‘디피투정’을 출시한다. DPP-4 억제제인 시타글립틴 성분과 다파글리플로진 복합제인 디피투정은 신장에서 다파글리플로진을 억제해 포도당의 재흡수를 줄이고, 소변으로 배출시켜 혈당 강하 효과에 도움을 주는 전문 의약품이다.
다림 바이오텍은 디피투정 출시로 현재 국내에 있는 7 계열의 당뇨병 치료제를 모두 갖춘 셈이다. 11종의 당뇨병 치료제 라인업을 앞세워 다림 바이오텍은 시장 점유율을 높여갈 계획이다.
비보존제약은 DPP-4 억제제 계열의 시타글립틴 성분 당뇨병 치료제 ‘이글립틴정(25 · 50 · 100㎎)’과 ‘자누비포정’을 출시하며 당뇨병 치료제 라인업을 강화했다.
![]() |
국제약품은 DPP-4 억제제 기전의 시타글립틴 성분의 신제품 ‘자누디정’, 시타글립틴과 SGLT-2 억제제 성분의 다파글리플로진 복합제 ‘포시비스정’을 출시했다. 명문제약도 시타글립틴 단일성분의 ’당이자누정25밀리그램, 50밀리그램, 100밀리그램‘ 및 SGLT-2 억제제와 DPP-4 억제제의 복합제인 ’다파자누정10/100밀리 그램‘을 발매했다
이외에 종근당도 이달 중 메트포르민 포함 3제 복합제 ‘듀비메트에스’를 출시할 예정이며, 동아에스티는 메트포르민을 포함한 3제 복합제 허가를 식악처에 신청했다. 내년 출시가 목표다.
업계 한 관계자는 “2~3 가지 약을 따로 먹을 때와 한 알로 먹을 때 효과 및 안전성 면에서 비슷하다면 복용편의성 면에서 복합제 수요가 더 많을 수밖에 없다”면서 “이미 경쟁이 치열한 2제 복합제뿐 아니라 3제 복합제 출시도 점차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당뇨병 환자는 약 600만명으로 당뇨병 전 단계 국민을 포함하면 2000만명 이상이 당뇨병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01 |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창립 38주년... ‘글로벌... |
02 | 상장 제약바이오,고환율 직격탄..상반기 '환... |
03 | 미국, 백신 안전성 논의 본격화…제약사 주가... |
04 | [인터뷰] "한국 뷰티 기업, 유럽 진출 원한... |
05 | K-뷰티, 바이어 발굴이 최우선 과제 |
06 | 미국 민간투자사, 사노피서 인수 제네릭 기... |
07 | K-뷰티, 미국 시장 확장기…소비자 여정 설계... |
08 | 동아대병원 문전약국 판결, 약사·한약사 직... |
09 | 국내 대표 유전체 기업 지니너스·이노크라스... |
10 | 서울에 모인 한·중 제약바이오 리더들…"전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