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랩스트리플, NASH 타깃 핵심 간 섬유화 개선에 직접 효능”
21~24일 EASL 2023에서 연구성과 2건 포스터 발표
이상훈 기자 jianhs@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3-06-23 14:24   
한미약품은 EASL Congress 2023에서 랩스트리플아고니스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한미약품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의 핵심 지표 중 하나로 꼽히는 ‘간 섬유화’를 직접적으로 개선한 연구결과가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한미약품은 21~24일까지(현지시각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유럽간학회(EASL Congress 2023)에 참가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 혁신신약으로 개발 중인랩스트리플아고니스트(LAPSTriple agonist)’의 연구 결과 2건을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표한 연구는 NASH 치료 핵심 지표 중 하나로 꼽히는간 섬유화를 직접적으로 개선한 효능 평가 결과여서 관심이 집중된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현재 다양한 치료 후보물질들이 임상 개발 단계에 있으나간 섬유화 개선에서는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랩스트리플은 GLP-1 수용체글루카곤 수용체 및 GIP 수용체를 모두 활성화하는 삼중작용 바이오 혁신신약으로다중 약리학적 효과를 토대로 NASH 환자의 지방간과 간 염증간 섬유화 등 복합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는 기대하고 있다.

이번 학회에서 한미약품은 지방간을 수반하지 않는 다양한 간 섬유화 동물 모델에서 랩스트리플의 직접적인 간 염증 및 간 섬유화 개선 효능을 재현적으로 확인한 연구 결과를 잇따라 발표했다.

또 랩스트리플의 효과를 다양한 인크레틴 유사체(GLP-1, GLP-1/GIP)들과 비교했을 때간 섬유화 개선에서 다른 인크레틴 유사체보다 차별화한 효능이 나타남을 입증했다.

회사에 따르면 최근 독립적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IDMC)는 현재 진행 중인 랩스트리플의 글로벌 임상 2상 중간 결과를 토대로계획 변경없이 지속 진행(continue without modification)’하라고 권고하는 등 개발에 탄력이 붙고 있다

한미약품은 현재 간 생검(Liver biopsy)으로 확인한 섬유증을 동반하는 NASH 환자들을 대상으로 위약 대비 랩스트리플의 치료 유효성안전성내약성 등 확인을 위한 후기 임상 2상을 미국과 한국에서 진행하고 있다.

한미약품 관계자는간에 직접 작용하는 랩스트리플은 다른 후보물질 보다 우수한 간 섬유화 개선 효능을 보여준다향후 30조원대 글로벌 시장 형성이 예측되는 NASH 영역에서 랩스트리플이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도록 개발에 회사의 R&D 역량을 집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이번 EASL Congress 2023에서는 한미약품이 2020 MSD 1조원대 규모로 기술 수출한 또다른 NASH 치료제듀얼아고니스트의 자세한 임상 2a상 결과도 구두 발표로 공개됐다.

발표에 따르면 듀얼아고니스트가 비교군인 세마글루타이드 대비 체중 감량 및 간내 지방함량 감소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됐다이 같은 듀얼아고니스트의 경쟁력은 한미약품이 자체적으로 발견한 글루카곤의 약리작용에 있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