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씨엠, AAV기반 '골관절염치료제' FDA 1/2a상 IND 승인
AAV 벡터 임상약 생산에 필요한 고난이도 기술력 증명
권혁진 기자 hjkw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2-10-19 13:13   
퇴행성 질환 유전자치료제를 개발기업 아이씨엠(대표이사 김대원)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ICM-203’의 임상 1/2a상 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지난 18일 밝혔다. 

이번 IND 승인과 관련해, 지난 9월 15일 IND 패키지를 제출한 이후, 임상 프로토콜에 대한 일부 보완 요청을 제외하고, 아이씨엠이 제출한 전임상 효능/독성 및 AAV 벡터 임상시료 생산공정 부분의 자료들에 대해 FDA가 수정요청 없이 그대로 승인했다는 점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아이씨엠 김대원 대표는 “이번 IND 승인은 FDA가 ICM-203의 중대형 동물에서의 골관절염 치료효능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는 큰 의미가 있다”며 “AAV 벡터 임상약 생산에 필요한 고난이도 기술력을 아이씨엠이 보유하고 있음을 FDA가 확인해 준 것”이라고 평가했다. 

아이씨엠의 리드 파이프라인 ‘ICM-203’은 AAV(아데노부속바이러스)에 치료유전자를 탑재한 유전자치료제로서 무릎 관절강에 주사해 연골 생성을 촉진하고 활막 염증을 억제함으로써 골관절염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DMOAD (Disease Modifying Osteo Arthritis Drug) 후보물질이다. 지난 3월 호주에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투여가 개시됐으며, 현재까지 특별한 부작용에 대한 보고 없이 순조롭게 투약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아이씨엠 주식회사는 연세대 생화학과 김대원 교수가 대표로 있는 신약 개발 바이오벤처기업이다. 아데노부속바이러스(AAV)를 사용한 유전자치료기술을 통해 퇴행성 난치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골관절염, 황반변성, 난청, 퇴행성뇌질환 등 다양한 퇴행성 질환을 대상으로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다.

최근 아이씨엠은 네 차례에 걸쳐 우량 벤처투자기관으로부터 520억 원에 달하는 민간투자 유치에 성공했고, 리드 파이프라인인 ICM-203는 2020년 12월 LG화학과 한중 판권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