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사장 김동연)이 2014년부터 총괄주관기관으로 수행 중인 과기부 신약개발 연구사업('신약타깃발굴 및 검증사업': 총괄주관책임자 여재천) 기술이전 성과가 연이어 나오고 있다.
이 '신약타깃발굴 및 검증사업'은 우리나라 신약개발 생산성 저하와 파이프라인 부족 극복을 위해 신규 기전 약을 개발하는 혁신신약 파이프라인 도출(기초원천기술 지원)을 목표로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 직접 기획했고, 매년 신규 선정 절차를 거쳐 2014년도부터 6년간 36개 연구과제, 총 199.69억원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통해 지원하고 있다. (2014년 4개 과제 20억, 2015년 4개 과제 20억, 2016년 2개 과제 10억, 2017년 7개 과제 41.66억), 2018년 4개과제 22.43억, 2019년 15개 과제 85.6억)
조합에 따르면 이 사업 주요 성과로 산·학·연·병 기술이전 8건(현재 진행 중인 2019년도 연구사업 기술이전 성과는 2021년도 상반기 추가 집계 예정)이 성사됐다. 또 논문 44편, 특허 등록 8건, 출원 51건 등 성과도 도출됐다.
여재천 신약조합 사무국장은 " 신약개발연구조합은 우리나라 신약개발 민간 컨트롤타워로 2021년도부터는 산·학·연·병, 벤처기업, 바이오스타트업 신약연구개발 중개 협력 시스템 오픈이노베이션을 대폭 확장 구축해 글로벌 신약개발기업 및 벤처/스타트업 기업육성을 본격적으로 리딩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술이전 주요 현황(진행 중인 2019 성과는 2021 상반기 추가 집계)
구분 |
기술이전 성과 요약 내용 |
2014 과제 |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한국유나이티드제약 - 간 섬유화 치료제로서 골드제제 용도 특허 (2016. 08) |
2015 과제 |
◦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우정비에스씨 (現우정바이오) - 간질치료제 효능평가 및 검색법에 대한 표준시스템 (2017. 04)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이룸바이오테크놀러지 - 헌팅턴병에 효과를 보이는 퀴놀리 유도체 특허 (2017. 03) |
2016 과제 |
◦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컴워스파마 - SCF(Stem Cell Factor) 항체 기술 (2017. 11) |
2017 과제 |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메디픽 - 뇌종양 줄기세포의 세포사멸 유도에 사용되는 기술 (2019. 02) |
2018 과제 |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셀젠텍 - 대장암에서 ErbB4/KITEIN 타겟을 이용한 분자진단과 항암 치료제 ◦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 ㈜큐로젠 - PEL-1 화합물 억제제 기술 (2019. 10) |
2019 과제 |
◦ 2021년도 상반기 추가 집계 예정 |
01 | 알피바이오, '애사비' 생산량 1년 새 10배 ... |
02 | 티씨노-리가켐바이오, 신규 면역항암제-차세... |
03 | 건강 제품 잇단 추천 '종근당' 7·8월 제약계... |
04 | 포리바이오,제2공장 건립…원료 판매 급증-생... |
05 | 레디큐어, 'KHF 혁신대상’ 수상..치매 전용 ... |
06 | 유럽 중심 선 한미 혁신 비만신약…EASD서 ‘... |
07 | “함께 파브리병 극복할 기업 찾습니다” KAIS... |
08 | 중국, 맞춤형 화장품 서비스 2단계 시범사업... |
09 | [기업분석] 본느 상반기 매출 254억…전년대... |
10 | 최초 바스 증후군 치료제 미국서 마침내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