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아제약(대표이사 조성환, 조성배) 생명공학연구소는 지난 달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온라인 학술지 PLOS ONE에 ‘형질전환 돼지유즙에서 분리한 인간성장호르몬의 구조 및 기능적 특성’이란 제목으로 논문을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논문은 생명공학연구소에서 인간성장호르몬(hGH) 유전자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돼지를 생산하고, 그 유즙에서 순도 99% 이상의 재조합 인간성장호르몬을 분리했다는 연구결과를 담고 있다. 또 이 재조합 단백질 구조 및 생물학적 활성을 확인, 기존 소마트로핀(지노트로핀, 화이자)과 동등성이 증명됐다.
형질전환 돼지 생산은 체세포 핵이식(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을 사용했으며, 유전자 변형을 위한 벡터는 자체 개발해 제작한 것으로, 돼지 베타 카제인(pig beta-casein)을 이용했다. 이 벡터는 2013년 미국 및 호주 등 특허권을 취득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논문은 형질전환 돼지 유즙에서 분리한 인간성장 호르몬을 시판 의약품과 비교한 결과, 단백질 구조 및 효능이 유사함을 확인했다고 기술했다.
또 비임상시험에서 뇌하수체를 적출한 생쥐를 대상으로 피하 주사해 효능 실험을 한 결과 용량 증가에 비례해 체중 및 골격이 성장해 성장호르몬 분비 장애로 인한 성장 부전에 대한 효능을 확인했으며, 일반 생쥐를 대상으로 한 독성실험결과 최대 용량에서도 독성이 없음을 확인했다.
조아제약은 확립된 시스템에서 기존 벡터를 사용해 다른 목적 단백질 유전자를 치환하면 다양한 종류 재조합단백질 생산이 가능하므로, 돼지 베타카제인 특허를 바탕으로 한 기술이전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향후 조아제약 생명공학연구소는 복제돼지 연구사업에서 연구방향을 전환해 천연물연구소로 새롭게 변화할 계획이다.
조아제약 관계자는 " 3분기 내 연구소장을 신규로 영입해, 천연물신약 연구개발 업무에 전력하기로 했다"며 " 이를 통해 단기적으로는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를 개발하고 장기적으로는 천연물신약 주요 성분 동정 및 이를 상용화한 제품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학술지 ‘PLOS ONE’은 2006년부터 퍼블릭 라이브러리 오브 사이언스에서 간행되는 과학 저널로, 과학 의학 기본 조사 연구를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