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취약지 소생? '이것' 없이 성공 장담 못해
시니어 의사 활용방안 토론회서 패널 참가자들, '소통'과 '협조' 강조
이상훈 기자 jianhs@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2-11-04 06:00   수정 2022.11.04 06:01

인력난을 겪고 있는 의료소외지역 및 의료취약지에 시니어 의료인력을 충원하는 것은 매력적인 해결방안이지만 정부와 의료계 등 다양한 분야의 소통과 협조없이는 사업의 성공을 장담할 수 없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지난 3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의료소외지역을 위한 시니어 의사인력 활용방안’ 국회 토론회에서 지정패널토의 참가자들은 사업 성공을 위해 소통과 협조를 강조했다.
 
대한의사협회 정재원 정책이사는 “필수의료 지역 격차 해소 대책을 논의할 때마다 공공의대 설립이 언급됐지만 이는 적은 졸업생수, 긴 양성기간, 과도한 의무복무 등 손봐야 할 문제가 많아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고 전했다.
 
이어 “의협에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0% 가까이가 은퇴 이후 재취업 의향이 있을 뿐 아니라 보건소나 지방의료원, 공공기관 등에서 근무하고 싶다는 비율도 절반을 넘어 이들을 활용할 방안을 깊이 있게 연구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 이사는 “다만 의사인력의 효율적 관리는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제도의 보완 등 정부의 현실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며 “정부와 의료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한 소통과 협조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분당서울대병원 김광일 교수는 “그 동안 공공의료와 필수의료 지원을 위한 여러 제도를 시행했지만 아직까지 문제점이 계속 드러나는 것은 하나의 해결책으로 완벽하게 풀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뜻”이라고 말했다.
 
김광일 교수는 시니어 의사인력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의사를 필요로 하는 공공의료기관과 은퇴의사들이 생각하는 업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공유해 기대치를 맞추는 작업과 전문성을 고려한 처우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이번 사업은 현실적인 문제에서 시작했지만 제도의 장점을 잘 살려 공공의료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발언을 마무리했다.
 
영남대 예방의학교실 이경수 교수는 “이번 사업은 공공의료분야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협력적 거버넌스와 리더십 측면에서 긍정적인 전략임이 분명하지만,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는지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 교수는 “제도 보완을 위해 복지부는 보건의료인력 불균형 해소 및 건강격차 개선이라는 명분과 논리를 적용해 국비와 지방비를 확보 및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보건복지부 신욱수 공공의료과장은 “최근 은퇴시기가 늦어지면서 시니어 의사 활용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 것 같다”며 ”외국에서도 의료취약지에 시니어 의사를 활용하는 정책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신 과장은 “시니어 의사들은 근무지 선택 시 자녀교육 비중이 적어 지방 근무가 상대적으로 거부감이 적을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 사업 구체화를 위해서는 시니어 의사 및 의료현장의 의견 수렴, 전문가 자문 등이 선제돼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사업대상, 추진체계, 예산지원, 운영방식 등에 대해서도 세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