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개념
적혈구증다증(다혈증)은 혈액단위체적 중 적혈구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돼 있으며 혈색소농도 및 hematocrit도 증가해 있다. 진단 경과관찰에 편리한 것은 hematocrit이다.
본증은 말초혈에서 적혈구수 증가(남 600만/㎕, 여 550만/㎕), 적색소량 증가(남 18g/㎗, 여 16g/㎗), hematocrit 증가(남 55%, 여 50%)를 나타낸 상태를 말한다.
적혈구증가증은 진성다혈증, 속발성적혈구증다증, 상대적적혈구증다증을 크게 나뉜다. 진성다혈증, 속발성적혈구증다증은 순환적혈구량이 증가해 있는 진정한 의미의 적혈구증다증인데 비해 상대적적혈구증다증은 혈장량의 감소에 의해 상대적으로 hematocrit가 상승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진성다혈증은 골수증식성질환의 원형이 되는 질환으로 만성골수성백혈병, 본태성혈소판혈증, 골수선유증과 함께 만성골수증식질환군에 속하는 조혈간세포이상클론의 증가증이다.
적혈구증가에 더불어 백혈구수>1.2aks/㎕, 혈소판수>40만/㎕의 과잉생산을 나타낸다. 치료에 잘 반응하여 10년 생존율은 70∼100%로 만성골수성백혈병에 비해서 좋은 편인데 5∼20%의 예는 급성백혈병으로 이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속발성적혈구증다증은 적혈구만이 증가한다.
①동맥혈산소포화도의 저하에 의한 erythropoietin의 적절한 생산증가(폐기종, 폐선유증, 폐포환기부전, cyanosis를 동반하는 선천성심질환, 고지거주)
②이상헤모글로빈증
③Erythropoietin의 부적절한 생산증가(신암, 간암, 신낭포, 수신증, 자궁근종, 난소낭종 등)으로 크게 구별된다.
치료원칙
적혈구증다증은 hematocrit치의 상승과 함께 혈장점도는 지수관계적으로 상승하여 순환부전에 의해 뇌혈전, 심근경색, 폐경색을 합병하기 쉽다. 따라서 이들 다혈증도 치료의 대상이 된다.
진성다혈증 치료에 이전부터 사용해 왔던 busulfan은 골수선유화·성선기능저하,·흑피증을 일으키는 일이 있어 현재 만성골수성백혈병에만 적응되고 있는 hydroxycarbamide가 일반적으로 투여되고 있다.
Hematocrit치가 60% 이상인 경우, 약물치료시작과 동시에 치료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긴급처치로 사혈을 한다. 동맥혈전증을 예방하기 위해 항혈소판제(aspirin 등)도 투여된다.
속발성적혈구증다증은 원병의 치료, 원인이 되는 병태를 제거한다. 사혈을 하기도 한다. 상대적다혈증은 수분보급, 스트레스 제거도 필요하다.
처방해설
치료는 사혈을 원칙으로 하는데 사혈을 여러 번 하는 경우에는, 적혈구 파괴를 목적으로 항악성종양제를 투여한다.
주요약물
·Hydroxycarbamide (ribonucleotide·리덕타제저해제)
《작용》리보누클레오타이드·리덕타제를 저해하여 프린체 함량을 감소시켜, DNA의 합성을 저해하고 세포증식을 억제한다.
종래, 본질환 치료에는 busulfan이 빈용되어 왔으나 본약물이 busulfan에 비해, 2차 발암성이 낮고 또, 투여중지 후 조혈회복이 빠른 등의 이유로부터 본질환의 약물치료 시 제1선택제가 되고 있다.
《사용상 주의》장기간 골수기능억제 등의 중독한 부작용이 생긴다. 적혈구증다증 치료시에는 백혈구수 5,000/㎕ 이하가 되면 투여량을 감량할 필요가 있다. 감염증 또는 출혈경향의 발현 또는 증악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금기》동물실험에서 최기형성 보고가 있으므로 임산부 또는 임신할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게는 금기이다.
《상호작용》다른 항악성종양제나 방사선치료와 병용으로 골수기능 억제작용 등의 부작용이 증강할 가능성이 있다.
《부작용》범혈구(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감소 등의 혈액장애, 설사, 복통, 오심·구토, 식욕부진 등의 소화기증상, 발진 등의 과민증 등이 보일 수 있다.
·Busulfan(알킬화제)
《작용》알킬화제로 단백이나 아미노산의 SH기를 알킬화하여 핵단백이상을 유발한다. 세포주기 비특이성으로 과립구계세포 및 과립구계 간세포에 대해 선택적으로 억제작용을 한다.
《사용상 주의》골수기능억제, 폐선유증 등의 심한 부작용이 일어났을 때에는 감량 또는 중지한다. 감염증, 출혈에 주의한다. 간·신장해, 폐장해, 감염증, 수두증 등의 환자의 병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 모유중으로 이행하므로 수유는 피한다.
《상호작용》
·항통풍제와 병용하면 본약물은 혈중뇨산농도를 높인다.
·그 밖에 골수억제작용이 있는 약물, 방사선과 병용으로 골수억제 등의 부작용이 증강할 수 있다.
《금기》본약물에 대해 심한 과민증 과거병력이 있는 환자.
《부작용》혈소판감소, 범혈구감소, 간질성폐렴, 간선유증, 간·신장해, 식욕부진, 오심·구토, 궤양성구내염, 설사, 과민증, 색소침착, 탈모, 무정자증, 무월경, 난소선유증, 무한증, 백내장, 여성화유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