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네디가 자른 CDC 백신자문위 “역대급이었다”
USC 연구팀, 전원해촉 前까지 이해상충 사상 최저치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08-20 06:00   수정 2025.08.20 06:01


 

미국 보건부(HHS)의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장관은 지난 6월 질병관리센터(CDC) 산하 예방접종자문위원회(ACIP)를 구성하고 있었던 위원진 전원(17명)을 해촉하는 전례없는 조치를 강행한 바 있다.

당시 케네디 장관은 위원회에 대한 업계의 영향력을 배제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취해진 조치라면서 전례없는 조치의 배경을 설명했다.

하지만 당시 전원 물갈이된 자문위 위원들의 이해상충(conflicts of interest)이 해촉 前까지 역대급으로 낮은 수치(historic lows)를 기록했던 것으로 나타났다는 요지의 조사결과가 공개되어 주목할 만해 보인다.

게다가 이 조사결과를 보면 가장 전형적인 우려사안으로 인식되어 왔던 백신 제조업체로부터 이익(income)을 취한 경우에 기인한 이해상충 케이스는 CDC 예방접종자문위 위원들에게서 사실상 전무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南캘리포니아대학(USC) 부속 공공보건‧경제연구소의 제네비에브 P. 칸터 부교수 연구팀은 ‘미국 의사회誌’(JAMA) 온라인판에 18일 “연방 백신자문기구들의 이해상충” 제목으로 게재한 조사결과에서 이 같이 지적했다.

조사결과를 보면 FDA의 백신‧생물학적 제제 자문위원회(VRBPAC) 또한 전례 드물게 낮은 이해상충 비율을 기록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FDA의 백신자문위는 허가가 신청된 백신의 승인 유무에 대해 자문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CDC의 예방접종자문위는 백신 접종대상과 접종시기에 대해 자문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차이점이 눈에 띄는 자문기구들이다.

조사작업을 총괄한 칸터 부교수는 “과거를 살펴보면 백신 관련 자문기구들에 상당히 높은 수준의 이해상충이 존재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지난 2000년대 초 이후로는 괄목할 만한 상황 변화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덕분에 백신 관련 자문기구들의 이해상충이 역대급으로 낮은 수치를 기록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칸터 부교수 연구팀의 조사결과는 때마침 민주당 소속 상원의원들이 CDC 예방접종자문위 위원 전원을 해촉하고, 백신 회의론자들을 포함해 자신의 입맛에 맞는 위원들을 인선한 케네디 장관의 결정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인 가운데 공개된 것이어서 논란이 뒤따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CDC 예방접종자문위 및 FDA 백신자문위를 구성하고 있는 위원들을 대상으로 과거 금전적인 측면에서 이해상충이 발생했던 사례들을 분석했다.

그 결과 지난 200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위원진 사이에서 이해상충이 상당히 높은 비율로 나타났음이 눈에 띄었다.

지난 2000년대의 10년 동안 연평균 이해상충 발생비율이 CDC 예방접종자문위에서 43%, FDA 백신자문위에서 27%에 달했던 것으로 나타났을 정도.

반면 2010년대에 들어면서 이해상출 발생비율이 크게 감소했고,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 이유에 대해 연구팀은 보건 관련기관들에 미치는 업계의 영향(industry influence)에 대한 고강도 감시(public scrutiny)에 기인한 결과일 수 있다고 풀이했다.

실제로 지난 2016년 이후로 보면 CDC 예방접종자문위에서 연평균 6.2%, FDA 백신자문위에서 연평균 1.9%의 비율로 금전적인 측면에서 이해상충의 발생이 보고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2016년 이후 백신 제조기업들로부터 개인적인 이익(personal income)을 취한 관계로 두 자문위에서 이해상충이 발생해 보고된 비율은 1%를 밑돈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서 언급된 “개인적인 이익”이란 자문료, 주식취득, 로열티 또는 지분보유(ownership)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연평균 이해상충 발생비율을 살펴보면 CDC 예방접종자문위에서 지난 2000년에 42.8%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이후 확연한 하향곡선을 이어가 2024년에는 5%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음이 눈에 띄었다.

마찬가지로 FDA 백신자문위의 경우 지난 2000년에 11.1%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반면 2024년에는 0%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해상충과 관련해서 가장 빈도높게 보고된 사유는 연구보조금 지원(research grants)과 관련한 문제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작업에 참여했고, 과거 FDA에서 고위직을 역임했던 같은 대학 공공이익연구소의 피터 루리 소장은 “이해상충이 중요한 이슈라면 케네디 장관이 옳았다고 할 수 있겠지만, 두 자문기구에서 이해상충이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면 케네디 장관이 옳지 않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칸터 부교수는 “CDC 예방접종자문위를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를 보면 정부가 이해상충을 과장한(overstated)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칸터 부교수는 뒤이어 “CDC 예방접종자문위의 이해상충 발생비율이 FDA 백신자문위에 비해 높게 나타난 것은 선자(先者)의 경우 1회 회의를 개최했을 때 더 다양한 제품들을 검토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금전적인 측면의 이해상충과 업계의 영향이 연방정부가 모종의 결정을 내리는 과정에서 확실히 우려할 만한 여지가 있는 사안이지만, 백신 자문기구들이 여기에 해당하는 사례들인지 여부는 분명치 않아 보인다고 칸터 부교수는 결론지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