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는 표현은 흔히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들이 겪는 어려움과 소외를 상징한다. 그러나 최근 성료한 ‘한국-스웨덴 에이지웰 포럼’에서는 그와는 상반된 메시지가 전해졌다. 스웨덴의 헬스케어 기업들이 선보인 노인을 위한 혁신적인 제품과 솔루션들이 노인 삶의 질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희망을 제시한 것이다.
복지 천국으로 불리는 스웨덴의 헬스케어 기업들이 10월 2일 '노인의 날'을 맞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한국-스웨덴 에이지웰 포럼: 건강과 노화를 위한 혁신적 접근(Korea-Sweden AgeWell Forum: Innovations in Health & Aging)'에서 노인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품과 기술을 선보였다.
노인 케어 시장은 전 세계적인 고령화에 따라 급성장 중이다. 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 데이터브릿지마켓리서치(DBMR)에 따르면 글로벌 노인 케어 시장은 2022년 1조7030억 달러(약 2288조8320억원) 규모였으며, 2030년까지 연평균 6.8%씩 성장해 2조8826억 달러(약 3874조2144억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 |
에씨티(Essity)는 '솔박(Sorbact®)' 기술을 적용한 만성 상처 케어 솔루션 제품을 소개했다. 에씨티는 글로벌 건강 및 위생용품 기업으로, 대표 제품으로는 템포, 토크 등이 있다. 솔박은 자연적 치유 과정과 물리적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활성 물질을 상처에 방출하지 않고도 세균을 제거해 감염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이 적용된 에씨티의 드레싱 제품들은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박테리아를 제거할 수 있어, 면역력이 약하고 항생제 내성에 취약한 노인과 신생아 등에게 유용하게 사용된다.
에씨티 강원석 지사장은 “만성 상처의 재발률은 60~70%로 매우 높은 편이며, 특히 면역력과 치유력이 떨어진 노인에게 만성 상처 관리는 중대한 문제”라며 “솔박 기술은 상처에 있는 박테리아와 곰팡이 내 독소를 DACC(Dialkyl Carbamoyl Chloride) 전문 코팅 기술을 통해 물리적으로 흡착 및 억제함과 동시에, 미생물이 더는 증식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제거해 노인의 만성 상처 관리를 효과적으로 도와준다”고 밝혔다.
에씨티에 따르면 솔박 기술은 임상시험에서 우수한 만성 상처 관리 능력을 입증받았다. 솔박 적용 드레싱은 항균력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은(silver)이 포함된 드레싱보다 박테리아 생성을 약 73% 감소시켰다. 또한 116명의 환자 중 93%에서 상처 치유 및 개선이 나타났으며, 감염으로 발생한 궤양에서 세균 부하(양)를 줄이는 데 효과를 보였다.
![]() |
헤모큐(HemoCue)는 현장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을 제공하는 '포인트 오브 케어(Point-Of-Care)' 솔루션 기술 기반 의료기기를 공개했다. 포인트 오브 케어는 환자가 있는 곳에서 즉각적으로 진단하거나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솔루션을 말한다.
헤모큐는 특히 혈액 분석 분야에서 앞선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혈액 내 헤모글로빈 수치를 측정하는 'HemoCue Hb' 시스템, 혈당 측정 'HemoCue Glucose' 시스템, 백혈구 수치 측정 'HemoCue WBC' 시스템 등을 구축했다.
헤모큐 레나 왈헤드(Lena Wahlhed) 이사는 “헤모큐의 기술과 제품은 노인 돌봄에서 자주 발생하는 응급 상황과 노인 돌봄이 주로 이뤄지는 일차 진료, 가정 간호 등, 자원이 제한된 지역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며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은 노인 환자의 불필요한 병원 방문을 줄여줘 시간과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특히 헤모큐 솔루션은 소량의 혈액으로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고, 이 과정은 간단하며 한 번의 교육을 받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이 강점”이라고 강조했다. 헤모큐는 한국에 고령자 건강 모니터링과 만성 질환을 관리할 수 있는 제품을 지속해서 출시할 계획이다.
![]() |
멘리케 헬스케어 코리아(Molnlycke Health Care Korea)는 상처로 인해 발생하는 삼출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신속한 치료를 돕는 폼 드레싱 'Mepilex Up(메필렉스 업)'의 우수성에 대해 발표했다. 멘리케 헬스케어는 스웨덴에 본사를 둔 글로벌 의료용품 기업으로, 상처 치료와 수술 분야에서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고 제공하고 있다.
메필렉스 업은 중력의 영향을 최소화해 삼출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제작됐다. 여기에 폼 표면에 특허받은 딤플(미세 돌기) 구조를 적용해 '모세관 작용'을 향상시켜 삼출물을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키고, 삼출물이 아래로 몰리는 것을 방지해 상처 관리에 필요한 삼출물 흡수 능력을 극대화했다. 중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다리나 하체 부위에서도 삼출물 관리를 쉽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멘리케 헬스케어 코리아 정윤식 차장은 “삼출물 누출은 상처 치료에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라며 “삼출물 누출은 치유 지연, 감염, 악취와 함께 보기 흉한 외관으로 사회적 불편함을 초래하며, 옷이나 침대 시트, 압박 붕대와 같은 의료기기에 삼출물이 스며들어,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치료에 더 많은 시간과 자원을 소모하게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 차장은 “메필렉스 업은 드레싱을 교체하지 않고도 최대 7일 동안 삼출물을 관리할 수 있다”며 “메필렉스 업은 뛰어난 삼출물 관리 능력뿐만 아니라, 특허받은 세이프택(Safetac®) 기술이 적용, 부드러운 실리콘 접착제로 피부에 통증과 손상을 최소화한다”고 강조했다. 일반적으로 드레싱은 최대 3일밖에 사용하지 못한다.
![]() |
에탁(Etac)은 거동이 불편한 노인의 일상생활을 돕는 보조기구를 선보였다. 에탁은 노인을 비롯해 장애인 보조기기 및 이송 장비 등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다. 일상생활에서의 독립성과 이동성 보장을 통한 삶의 질 개선이 이 기업의 궁극적인 목표다. 에탁의 대표 제품으로는 노인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동시키는 리프트 '모리프트(Molift)', 수동 휠체어를 전동 휠체어로 변환할 수 있는 파워 어시스트 시스템 '클락슨(Klaxon)' 등이 있다.
에탁의 한국 비즈니스 파트너사인 케어맥스코리아 김대훈 부장은 “에탁의 각종 제품은 전 세계 노인 복지 분야에서 상당한 인지도를 가지고 있으며, 50년 동안 여전히 인정받고 있다”면서 “이는 스웨덴과 유럽 국가들이 노인 복지에 신경을 쓰고, 에탁에선 지속해서 제품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기에 이뤄진 성과”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해당 제품들은 10년 전인 2013년에 한국에 도입됐으나, 1년 반 만에 실패해 사업이 중단됐다”면서 “당시만 해도 노인 복지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적었다. 그러나 최근 고령화에 따라 노인 복지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면서 다시 한국에 에탁의 다양한 제품들이 재출시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또한 김 부장은 “복지 선진국들이 발전시킨 제품들이 국내에서도 많이 사용돼 노인들의 삶의 질이 개선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포럼의 기조연설에 나선 스웨덴 고령사회보장부 안나 텐예 장관은 “고령화에 따라 빠르게 발전 중인 에이지테크(Agetech) 분야는 인력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복지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여야만 하는 스웨덴과 한국 모두에게 그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면서 “에이지테크 제품과 서비스가 올바르게 정착되기 위해서는 이용자, 개발자, 정부, 그리고 규제 프레임워크 간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주한스웨덴대사관 칼-올로프 안데르손 신임 대사 내정자는 “한국과 스웨덴 양국은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와 출산율 감소라는 문제를 겪고 있으며, 이는 건강 복지뿐만 아니라 인력 수급, 교육 시스템, 경제 전반에 걸쳐 큰 도전 과제가 되고 있다”라며 “에이지웰 포럼을 통해 실질적인 양국 간 협력이 시작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한국-스웨덴 에이지웰 포럼: 건강과 노화를 위한 혁신적 접근' 행사는 한국과 스웨덴이 직면한 공통된 도전 과제인 고령화 사회 문제에 대한 양국의 정책과 혁신적 해결책을 모색하고,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한스웨덴대사관, 스웨덴무역투자대표부, 스웨덴의 의료 비영리 조직인 스웨케어(Swecare)가 공동 주최했다.
01 | ‘KDDF 글로벌 바이오텍 쇼케이스’ ··파트너... |
02 | 지씨셀, Liver Week 2025서 '이뮨셀엘씨주' ... |
03 | 씨엔알리서치, ‘추정대상 모수(Estimands)’ ... |
04 | 코스맥스-동성케미컬, 바이오 핫멜트 점착... |
05 | 글로벌 뷰티 새 기준은 "가성비·과학적 증명... |
06 | 코오롱생명과학, 1Q 매출 448억원…영업익·순... |
07 | 케어젠, 펩타이드 기반 반려동물 헬스케어 ... |
08 | 젬백스, PSP 신약후보 'GV1001' 유럽서 희귀... |
09 | 알리코제약,‘레바미피드 서방정’ 제네릭 허... |
10 | 강스템바이오텍,"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1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