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0대뉴스] ⑦ 바이오헬스 투자 위축 지속
권혁진 기자 hjkw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3-12-28 06:00   수정 2023.12.28 06:01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바이오헬스 시장과 투자가 얼어붙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체 적용 신약개발 기업의 코스닥 상장은 지난해 보다 늘었다.©픽사베이

올해 바이오헬스 기업이 코스닥 시장에 총 13곳 상장했다. 코스피 상장 기업 1곳을 더하면 총 14곳이 IPO에 성공했다. 지난해 상장 건수를 훌쩍 뛰어넘을 것으로 예측됐지만, 기대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여기에 VC 투자도 최근 5년 중 최저치가 전망된다. 특히 내년부턴 본격적으로 개정된 기술특례상장 제도가 적용되면서 IPO 시장이 어디로 튈지 모르는 상황이다.

약업신문이 한국거래소 상장통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7일 기준 올해 바이오헬스 기업의 코스피·코스닥 상장 건수는 14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바이오헬스 기업 코스닥 상장 건수 12건을 간신히 넘는 수치다. 이러한 기대치에 못 미치는 결과는 국제 정세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선 지난 10월 이스라엘과 하마스 전쟁 발발 이전만 해도 올해 바이오헬스 기업 상장이 15건을 거뜬히 넘길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나 여러 기업이 상장심사를 승인받았음에도 상장심사를 철회했다. 3D영상의료기기제조 기업 쓰리디메디비젼과 의료용기기제조 기업 레보메드는 위축된 투자 환경 때문에 상장심사를 거둬들였다.

반면 인체 적용 신약을 직접 개발하는 기업 상장은 지난해보다 많았다. 대규모 자금과 매출 발생까지 장기간 소요되는 신약개발 기업이 가진 특성을 고려하면, 신약개발 기업들의 상장 증가는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올해 상장한 신약개발 기업은 파로스아이바이오, 큐라티스, 에스바이오메딕스, 지아이이노베이션, 큐로셀, 와이바이오로직스, 총 6곳이다. 지난해엔 샤페론, 에이프릴바이오, 보로노이, 바이오에프디앤씨 4곳이었다. 의료용 기기·장비 및 소프트웨어 진단 기업의 상장 건수도 5건으로 지난해 4건보다 많았다.

올해 바이오헬스 VC(벤처캐피털) 투자도 얼어 붙었다. 최근 5년 중 최저치가 전망되고 있다. 한국벤처캐피탈협회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바이오의료 분야 VC 신규 투자는 총 3665억원 이뤄졌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5.8% 감소한 수치로, 최근 5년 중 최저치다. 가장 많은 투자가 이뤄진 연도는 2021년으로, 1조6770억원 규모의 투자가 성사됐다. 이어 2020년 1조1970억원, 2019년 1조1033억원, 2022년 1조1058억원 순이다. 올해 하반기 VC 신규 투자가 약간 증가했으나, 4년간 넘긴 1조원 투자 규모에는 턱없이 모자랄 전망이다.

VC 투자 건수도 급감했다. 국내 바이오헬스 투자 비중이 높은 주요 VC 25개사는 2023년 8월 기준 총 33건 투자를 집행했다. 1년간의 데이터는 아니지만, 이 역시도 집계를 시작한 2020년부터 올해까지 4년 중 최저치다. 주요 VC 투자 건수는 2021년이 143건으로 가장 많았고, 2022년 95건, 2020년 93건 순이다.

개정된 기술특례상장 제도가 바이오헬스 신뢰를 회복시킬 것이라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 기존 제도보다 기술성과 사업성이 우수한 기업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7월 '기술특례상장 제도 개선 방안'을 확정해 발표했다. 이번 개선안을 통해 국가전략기술 및 국가첨단전략에 속하는 바이오헬스 업종은 단수 기술평가가 가능해졌다. 기존엔 2개의 전문 평가기관에서 기술평가를 받아야 했으나, A등급 이상의 1개 기술평가로도 기술특례상장 신청이 가능하다.

또한 특례 대상 중소기업 범위도 확대된다. 이전엔 중견기업의 경우 최대 출자자의 지분율이 30%가 넘어가면 기술특례상장 제도를 이용할 수 없었다. 이번 개선안에선 지분율을 최대 50%까지 확대했다. 중견기업의 자회사들도 기술특례상장 제도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반면 개선안은 기술력과 사업성에 대한 평가는 더욱 엄격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관사의 책임성 부여를 위한 장치가 추가되면서 상장이 더 어려워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주관사가 상장시킨 기술특례상장 기업이 조기 부실화되면, 주관사가 추후에 기술특례상장을 추진할 때 추가적인 조건들이 부과되는 일명 '주관사 책임제' 도입이 확실시되고 있다. 여기에 표준기술평가모델 고도화를 위해 외부 전문가의 성과 평가와 보완 등도 추진될 예정이다.

올해 바이오헬스 투자 및 상장 결과가 개운치 못한 상황에서, 2024년 개정된 기술특례상장 제도와 정부의 지원책이 다시 한 번 바이오헬스 열풍을 일으킬지 귀추가 주목된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