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바이오로직스, '수막구균 5가 백신' 개발 본격화
라이트재단 및 게이츠재단으로부터 임상개발비 지원
권혁진 기자 hjkw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3-02-22 10:49   수정 2023.02.23 17:55
유바이오로직스는 자체개발 중인 수막구균 5가 접합백신(EuMCV5)의 임상1상을 내달부터 진행할 예정이라고 22일 밝혔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지난 1월에 재단법인 국제보건기술연구기금(Research Investment for Global Health Technology Foundation, 이하 ‘라이트재단’)과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이하’게이츠 재단’)의 공동지원 과제로 선정돼, 향후 아프리카 사하라사막 이남의  수막구균염 밸트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백신을 개발한다.

라이트재단은 임상 1~3상 개발단계 걸쳐 마일스톤 방식으로 연구비를 지원하며, 게이츠재단은 국제 비영리단체 PATH를 통해 글로벌 임상 3상을 수행하는 데 집중 지원될 예정이다.

라이트재단은 한국정부와 한국생명과학기업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보건 분야의 R&D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민관협력 비영리 재단이며, PATH는 백신임상 및 WHO-PQ(사전적격성평가) 승인 관련 연구에 풍부한 경험을 가진 국제적인 연구기관이다. 

수막구균 백신은 국내에서는 유바이오로직스가 유일하게 개발 중으로 그동안 수막구균 5가 접합백신(EuMCV5) 개발과제는 정부지원으로 추진해 온 바 있으며, 이번에 원액 및 완제품을 춘천 제2공장 자체시설에서 생산하여 임상에 진입하게 됐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자체 EuVCT 플랫폼기술을 바탕으로 수막구균 접합백신 4가(ACYW항원)에 대해 이미 2020년에  라이트재단 지원으로 국내 임상 1상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바 있다. 그러나 아프리카 지역에 새롭게 발생된 X형의 혈청형을 추가한 5가 백신(ACYWX)으로 개발이 필요하다는 공공백신 개발전략에 따라 추가적인 임상을 진행하게 됐다. 사설시장에서는 여전히 4가 백신의 수요도 높아, 회사는 임상1상이 완료된 4가 백신에 대해서는 현재 3개사 등과 공동개발 및 라이센스 아웃에 대한 협의도 진행 중이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50만명의 수막구균성 질환 환자가 발생해 그 중 7만5000여 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막구균 예방백신의 22년 세계시장 규모는 3.5조원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선진국에서 개발된 높은 가격의 수막구균 백신은 UNICEF등 국제기구를 통한 공공시장 조달이 어려운 상황이며, WHO 등 국제기구는 예방백신의 적극적 캠페인을 통해 2030년까지 수막구균 질환 발생 건수 및 사망률을 80%까지 줄인다는 계획을 하고 있기에, 가격 경쟁력이 있는 제품이 출시된다면 수막구균 백신의 공공 조달시장은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회사 관계자는 “올해 중 아프리카 등 글로벌 임상을 개시하고, WHO-PQ(사전적격성평가) 승인 등의 절차를 거쳐 향후 3~4년 내 공공 조달시장에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며 "EuMCV5의 경우 자체 생산하는 접합단백질(rCRM197)을 바탕으로 가격 경쟁력과 우수한 효능의 액상제형으로 개발해 공공시장에 빠르게 진입하면 성공적인 사례를 만든 콜레라 백신 이상의 시장 창출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