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황반변성 환자 80% 60대 이상...1인당 진료비 83만원
"고령화 주 원인"...건보공단 2017~2021년 건보 진료현황 분석 결과
이상훈 기자 jianhs@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2-09-22 11:59   수정 2022.09.22 12:00

 황반변성 환자의 80%가 60대 이상이며 1인당 진료비는 83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강도태)은 24일 ‘세계망막의 날’을 맞아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황반변성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22일 발표했다.
 
공단 발표 자료에 따르면 황반변성 진료인원은 2017년 16만6007명에서 2021년 38만1854명으로 130%(21만5847명)가 증가했다. 연 평균 증가율은 23.2%로 조사됐다.
 
연령대별 진료인원을 보면 70대가 12만5642명(32.9%)로 가장 많았고, 60대 12만576명(31.6%), 80세 이상 7만1164명(18.6%) 순으로 나타났다.
 
증가 폭이 가장 큰 연령대는 60대로, 2017년 4만3851명에서 2021년 12만576명으로 175%가 늘었다.
 

황반은 눈 안쪽에 있는 신경막으로 시각세포 대부분이 몰려 있어 시력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황반부에 변화가 생겨 시력장애가 생기는 질환이 바로 황반변성이다.
 
황반변성이 발생하면 시력저하, 중심암점, 변형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크게 건성과 습성으로 나뉘는데 습성은 망막 아래층인 맥락막에 비정상적인 혈관이 자라며 치료를 하지 않으면 빠르게 시력이 저하될 수 있다.
 
흡연, 자외선 노출, 유전적 요인, 비만 등이 관련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가장 확실하고 강력한 위험인자는 노화다.
 
공단 일산병원 안과 정은지 교수는 “최근 국내에서 황반변성 환자가 증가하는 것은 고령화로 인해 노인 인구가 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1인당 진료비를 살펴보면 2017년 66만원에서 2021년 83만원으로 25.9% 증가했다. 남성은 101만2000원, 여성은 69만7000원으로 남성의 진료비가 더 높았다.
 
황반변성 예방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또 금연을 하고 자외선 차단, 적절한 체중 관리, 항산화제가 풍부한 과일이나 채소를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정은지 교수는 “습성 황반변성은 치료하지 않으면 시력이 빠르게 소실되며 한번 손상된 황반은 정상적으로 회복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기적인 안과검진과 적절한 치료로 시력을 보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