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다음달부터 코로나19 후유증 연구…11일까지 연구자 공모
확진자 후유증 발생률‧증상‧위험인자‧발생원인 등 조사‧연구 예정
이주영 기자 jy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2-07-07 06:00   수정 2022.07.07 06:00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이 다음달 시작하는 코로나19 후유증 조사연구 사업을 이끌 연구자를 오는 11일까지 모집한다.

질병청 국립보건연구원은 국내 코로나19 후유증 관리 대책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미래 감염병 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올해 코로나19 후유증 조사연구 신규사업의 연구개발과제를 이끌어갈 연구자를 오는 11일까지 모집한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사업의 주요 내용은 소아 청소년을 포함한 코로나19 확진자를 대상으로 한 코호트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확진자의 후유증 발생률, 증상, 위험인자, 발생원인 등에 대한 조사, 연구, 치료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세부사업은 ▲임상기반 코로나19 후유증 양상 연구 및 가이드라인 운영 ▲빅데이터 기반 코로나19 후유증 연구 ▲코로나19 후유증 중개연구 등 3가지다. 

임상기반 코로나19 후유증 양상 및 가이드라인 연구는 소아청소년을 포함한 코로나19 확진자의 코호트 구축 및 운영을 통해 코로나19 후유증 양상을 조사 연구하고, 치료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후유증 발생률 등 임상역학, 진단가이드, 관리 및 예후 등 임상양상을 조사하고, 미래 감염병을 대비한 임상연구 네트워크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 후유증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및 해당 사업 연구를 통해 가이드라인을 수시 업데이트 및 배포하려는 것이다. 

빅데이터 기반 코로나19 후유증 연구는 해당 사업의 임상 연구와 중개연구 등 동의서를 기반으로 한 자료 DB를 구축하고, 활용 플랫폼 개발 및 활용 연구가 주 목적으로, 미래 감염병 대비 감염병 DB와 플랫폼 체계를 구축하려는 것이다. 

코로나19 후유증 중개연구는 코로나19 후유증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 바이오마커 탐색 등을 위한 중개 연구가 주요 내용이다. 

지원규모는 1차년도 53억원, 2차년도 73억원, 3차년도 50억원, 4차년도 41억원으로 4년간 총 217억원 이내이며, 지원기간은 1차년도 5개월, 2차년도 12개월, 3차년도 12개월, 4차년도 12개월 등 3년 5개월 이내다. 

과제별 연구개발비 지원규모는 임상기반 코로나19 후유증 양상 및 가이드라인 연구의 경우 1차년도 33억원, 2차‧3차년도 각각 25억원, 4차년도는 20억원이다. 빅데이터 기반 코로나19 후유증 연구의 경우 1차년도 10억원, 2‧3‧4차년도는 각각 5억원씩이다. 코로나19 후유증 중개연구의 경우 1차 10억원, 2차 42억5,800만원, 3차‧4차년도 각각 20억원이다.     

지원대상은 주관연구개발기관의 경우 산‧학‧연‧병이 모두 가능하되, 공동연구개발기관 구성을 통한 협업연구는 필수다. 

기관별 추진체계는 질병청인 사업 구성 및 출연금 편성과 대응 등 관리를 총괄하고,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연구과제 선정‧평가‧정산‧진도‧성과 관리를 맡는다. 

공모에 신청할 수 있는 연구개발기관은 국‧공립 연구기관 및 ‘특정연구기관 육성법’ 적용을 받는 연구기관, 고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기업부설연구소, 민법이나 다른 법률에 의해 설립된 법인 연구기관, 보건의료기술진흥법 시행령 제3조에 따라 보건복지부 장관이 인정하는 보건의료기술분야 연구기관‧단체가 해당한다. 

질병청은 이번 사업을 통해 코로나19 후유증에 대한 대응정책 등 근거를 제공하고, 미래 감염병 대응체계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신‧변종 바이러스 및 국내 신종 감염병 유입으로 인한 팬데믹 등에 신속 대응할 수 있는 임상연구 체계를 확립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롱코비드’는 코로나19 발병 3개월 이내에 시작돼 최소 2개월 이상 증상이 있고, 다른 진단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두통, 인지저하, 피로감, 호흡곤란, 탈모, 우울‧불안, 두근거림, 생리주기 변동, 근육통 등 200여개의 다양한 증상이 롱코비드 증상으로 보고되고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