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등을 포함한 2021년도 정부예산 2,604억원이 편성해 국회에 제출됐다.
정부는 25일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지원위원회(이하 범정부지원위원회) 회의를 열어 추경 집행 현황 및 내년도 정부 예산안을 보고 받았다.
정부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등 개발 지원을 위해 내년에는 올해(추경 1,936억 원 포함) 보다 418억원(19.1%)이 증가한 총 2,604억원의 예산(안)을 편성해 국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치료제·백신 개발 1,528억원(413억원↑): 보건복지부는 항체·혈장 치료제, 백신 등 3대 플랫폼 중심, 비임상(’21년 신규)·임상시험(글로벌 임상 포함)에 1,388억원을 지원한다. 항목별로는 치료제 임상지원 627억원, 백신 임상지원 687억원, 비임상 지원 74억원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치료제(6개)·백신(4개) 연구 및 후보물질 발굴 등 위한 비임상에 140억원을 지원한다. 해당 예산은 치료제‧백신 개발(100억원)과 동물 효능테스트 실험 지원(40억원)으로 나뉜다.
연구·생산 기반(인프라) 구축 515억원(147억원↓): 과기부는 감염병 연구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99억원을 지원한다. 해당 예산은 한국 바이러스 기초연구소 설립(45억원)과 연구시설(BL3) 구축 및 바이러스 연구정보·자원 지원 등(54억원)으로 지원이 이뤄진다.
질병관리청은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건립, 대용량 유전체 분석 환경 구축 등 국가보건의료연구 인프라 확충에 172억원을 사용한다. 세부적으로는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건립(28억원) △항바이러스 약물평가 실험실 운영(58억원) △대용량 인체자원 정보 생산 기반 구축(4억원) △연구 인프라 구축(52억원) △국립감염병연구소 연구 시설 확충(30억원) 등이다.
복지부는 '국가감염병임상지원센터' 등 임상체계 플랫폼 구축에 30억원을, 산업통상자원부는 백신 글로벌 산업화 지원 위한 시설·장비 구축에 101억원을 각각 지원한다.
식품의약안전처는 백신·K-방역물품 제품화 및 신속공급 지원을 위해 113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이들 예산은 △화순 '백신안전기술지원센터' 운영 지원(58억원) △백신‧혈장치료제 등 국가검정 장비 보강·BSL3 시험실 신축(45억원) △성능시험 실험실 설치(10억원)에 들어간다.
방역물품·기기 고도화 371억원(44억원↑): 과기부는 감염 보호-감염 진단-병원 서비스-치료복구 등 '한국형 방역 패키지'를 개발하는데 97억원 예산을 편성했다. KAIST 플랫폼을 활용해 산학연 연계․역량 결집, 감염병 대응 솔루션을 개발하고 글로벌 산업화를 추진하게 된다.
복지부는 방역 장비·진단기기 국산화·고도화에 185억원(감염병방역기술개발 165억 + 의료기기경쟁력 강화 20억)을,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 적합 현장수요 맞춤형 방역물품 기술개발에 (89억원을 각각 지원하낟.
기초연구 강화 190억원(108억원↑): 복지부가 감염병 의료기술 근거생성에 15억원을, 식약처가 치료제·백신·마스크 등 방역물품 허가·심사 평가기술 연구에 59억원을 편성했다.
또한 산업부가 K-방역모델 국제표준화 지원 등 국가표준기술개발보급에 14억원을, 과기부는 감염병 예측·진단·치료·예방 전주기 대응 플랫폼 핵심기술개발에 102억원을 편성했다.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은 "코로나19 치료제나 백신 개발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덜어주고, 기업의 노력이 조기에 성과로 이어지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며 "치료제·백신 개발은 쉽지 않은 도전이지만 이번에 축적한 개발 경험은 앞으로 우리 모두에게 소중한 자산이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부는 끝까지 지원한다'는 원칙하에 내년 예산도 올해보다 약 418억원이 증액된 2,604억원을 편성했다"면서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기초연구부터 임상시험, 연구·생산 기반 확충 등 치료제․백신 개발 전 단계에 걸쳐 범정부적 역량을 동원해 총력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기영 장관은 "코로나19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으로, 현재의 위기가 종식되기 위해서는 치료제, 백신이 필요하다"라며 "정부는 영장류에 이어 마우스, 햄스터 등 소동물을 활용한 치료제, 백신 효능 검증실험 지원에 착수하는 등 전임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 장관은 "치료제, 백신의 신속한 개발을 위해 25개국 32개 연구소로 구성된 한국파스퇴르연구소의 글로벌 협력‧연구 네트워크를 활용해 국내 치료제, 백신 해외 임상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