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적용했던 특별입국절차를 전 유럽으로 확대한다.
의료용 방역 물품의 국내생산 확대를 지원하고 물품 상시 구매·비축 추진도 함께 진행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김강립 1총괄조정관은 16일 정세균 본부장(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내용을 브리핑했다.
주요 내용을 보면, 특별입국절차 유럽발 전 항공노선 탑승자로 확대했다.
정부는 3월 16일부터 코로나19 감염병 세계적 대유행(Pandemic)에 대응해 유럽지역의 경우, 기존 유럽 6개국 출발 항공노선(두바이, 모스크바 경유 포함)에서 적용되던 특별입국절차를 유럽발 전 항공노선 내‧외국인 탑승자(두바이 등 경유 포함) 전체를 대상으로 확대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의 유럽지역 코로나19 발생 및 전파속도와 유럽 지역 입국자의 검역 결과 등을 고려해 해외 위험요인이 국내로 재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하기 위한 조치이다.
유럽발 입국자 검역결과 3월 13일 확진자 1명, 3월 14일 확진자 3명이 발생했다.
특별입국절차는 건강상태질문서 징구, 발열체크 등 강화된 검역과정에서 입국 당시 유증상자를 차단하는 것에 추가해 증상이 없는 입국자에게 자가진단 앱을 설치해 추적관리를 가능케 해 입국자를 보호하는 한편, 해외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감염요인을 차단하게 한다.
3월 16일 0시 기준 유럽발 특별 입국자 1,391명의 검역결과 76명(한국인 71명)에 대해 검체채취 및 진단 검사를 실시했다.
그 외 무증상자에 대해서도 국내 연락처 수신여부를 확인하고, 자가진단 앱을 통해 14일간 매일 발열, 기침, 인후통 등 코로나19 의심증상을 자가진단 후 입력하도록 안내했다.
이를 통해, 입국자의 감염여부를 조기에 발견해 입국자를 보호하고 감염증의 지역사회 전파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의료용 방역물품 수급 관리 방향을 공개했다.
정부는 의료용 방역물품의 전략적 수급 관리 계획(국내 생산 확대지원, 방역물품 상시 구매·비축)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는 코로나19 세계적 대유행화 및 장기화로 각국의 의료용 방역물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취해지는 조치이다.
방역물품 제조업체의 국내 생산 확대를 지원해 해외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안정적 공급 기반을 마련하고, 방호복 등 해외 임가공 중심 생산 구조를 점진적으로 국내 임가공으로 전환해 임가공 인력 등 국내 일자리를 창출하며, 방역물품 제조기업에 대한 연구개발 지원, 경영·금융 컨설팅 등 통해 생산능력 및 제품경쟁력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아울러 향후에도 방역물품에 대한 상시 구매·비축을 통해 안정적인 국내수요를 창출하고 관련 산업을 활성화한다.
매년 상시 일정량을 구매·비축하는 등 국내 의료용 방역물품 생산기업과 지속적인 계약 관계를 유지해 유사 시에는 생산량 확대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정부는 단기적인 방역물품 공급도 원활히 해 의료진 보호에 소홀함이 없도록 할 예정이다.
우선 3월 안에 방호복(레벨D) 180만개, 방역용마스크(N95) 200만개 등을 추가 확보할 계획이며, 4월 이후에도 국내 생산업체 지원 등을 통해 방호복 250만개, 방역용마스크 300만개 이상 확보할 예정이다.
아울러 5월 말까지 필요량 충족 후 추가적으로 방호복(레벨D) 기준 100만개를 비축·유지할 수 있도록 방역물품 생산·수입 확대를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