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전 자치구로 확산된 다제약물관리 사업과 통합돌봄 조례 대응을 바탕으로, 서울시약사회(회장 김위학)가 하반기 약사 직능 강화를 위한 정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김위학 회장은 7일 오후 서울시약사회관에서 열린 전문기자 대상 간담회에서 “서울시약사회가 상반기 다양한 약료 서비스 기반 사업을 통해 실효성을 입증한 만큼, 하반기에는 약사의 공공성과 전문성을 축으로 정책을 더욱 공고히 다져가겠다”고 밝혔다.
서울시약사회는 특히 통합돌봄 시행을 앞두고 약사 참여를 명시한 지역 조례 제·개정이 핵심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24개 구 분회장이 각 구청장 및 구의회 의장과 접촉해 '약물관리' 행위 반영의 필요성 설명에 나서고 있다고 전했다. 김 회장은 “지자체 조례는 약사 역할 반영 여부를 결정짓는 실질적 실행 단위”라며 “지역 약국이 단순 판매를 넘어 건강관리 거점이 되기 위해서는 약물 복용 관리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시약사회는 이미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강원지역본부와의 협력 아래 자문약사 확대 및 권역별 설명회를 진행해 다제약물 관리 서비스 기반을 전국 최초로 체계화하고 있다. 서울 내 자문약사는 지난해 141명에서 올해 276명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으며, 자문활동을 통한 약국 내방형 서비스 실적도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5건에서 50건으로 확대됐다.
또한 약사 상담의 질을 높이기 위한 챗GPT 기반 약료지원 챗봇은 7월 중 시험 운영을 거쳐 8월부터 서울 지역 자문약사에 우선 제공될 예정이다. 김 회장은 “AI 디지털위원회 주도로 개발 중인 약료상담 보조 도구는 약물 이력 기반 상담자료 제공 등을 지원하며, 약사 전문성 강화를 위한 보조 수단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김 회장은 창고형 약국과 같은 약사 윤리성과 공공성을 해치는 흐름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분명히 하고, 제도 개선의 필요성도 함께 제시했다. 김 회장은 “약사사회는 더 이상 약을 많이 파는 시대가 아니라, 약물 복용을 조절하고 관리하는 시대를 맞이했다”며 “약물관리 수가체계가 구축돼야 약사가 오남용을 제어하는 전문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약사회는 하반기 중 정책자문단 구성을 마무리하고, 정책·법률 자문 역량을 체계화하는 한편, 회원 대상 ‘미래 비전 수립’ 참여 프로그램도 추진할 계획이다. 김 회장은 “회원 의견을 반영한 ‘약사의 미래’ 정의가 필요하다”며 “정책·학술·AI·법제 등 신설 4개 위원회를 중심으로 직능 강화를 위한 중장기 청사진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