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가 올해 제약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해 4,779억원을 투입한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9일 2019년도 제1차 제약산업 육성·지원 위원회(위원장 복지부장관)를 개최하고 2019년 제약산업 육성·지원 시행계획(안)을 심의했다.
이날 심의·의결된 2019년 제약산업 육성·지원 시행계획은 지난 2017년 12월에 발표한 '제2차 제약산업 육성·지원 5개년 종합계획'의 2년차 시행계획으로 지난해 4,324억원에 이어 올해에는 4,779억원을 투입해 제약산업을 육성·지원한다.
올해 주요 추진 계획을 보면, 우선 인공지능(AI) 활용 신약개발 플랫폼 및 스마트 임상시험 인프라 구축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의 활용 활성화를 지원한다.
이와 관련 복지부·과기부는 올해부터 75억 예산으로 'AI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복지부는 '스마트 임상시험 플랫폼 구축 지원 사업'을 28억원 예산으로 추진하고 있다.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IT+BT 융합형 신약개발 전문인력 및 바이오의약품 생산전문인력을 양성해 미래 제약산업의 성장동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AI 활용 신약개발 교육 및 홍보 신규사업 추진(2019년 1억6,000만원)과 오송 바이오생산시설에 실습용 GMP구축, 연간 200명(최대) 교육 실시(20억7,000만원) 등이 있다.
수출 지원을 위해서는 '민·관 공동 시장개척 추진 협의체' 운영 및 한국 제약산업 홍보회, 채용 박람회 등의 개최를 통해 글로벌 인지도를 제고한다.
제도개선 분야에서는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 제도 개편 추진 및 신속·효율적인 임상시험 수행을 위한 'IRB 심사 상호인증'을 시범운영(2019~2021)한다.
오늘(9일) 심의·의결된 '2019년 제약산업 육성·지원 시행계획'은 관계부처와 함께 세부과제별로 추진된다.
박능후 장관은 "제약·바이오 산업은 혁신 성장을 통해 일자리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국가 미래 기간산업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제약산업이 국민 건강을 책임지면서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국가 기간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제약산업 육성·지원 위원회를 중심으로 가치 있는 논의의 장을 계속 운영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