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마존웹서비스(AWS)가 11일 서울 상공회의소에서 ‘퍼블릭 섹터 데이 서울 2025’를 열고 공공부문 디지털 전환의 미래를 제시했다. 행사에는 정부·공공기관·교육·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의 관계자 1000여명이 참석해 생성형 AI와 클라우드 기반 혁신 전략을 공유했다.
올해 행사는 △3개 트랙(교육 및 리서치 디지털 네이티브 시대의 스마트 캠퍼스, 헬스케어 데이터 기반의 미래 의료, 정부기관 및 국방, 우중항공 디지털 혁신으로 실현하는 지능형 정부) 총 25개 세션 △생성형 AI 체험 부스 3곳 △파트너사 부스 9곳으로 꾸려졌다.
특히 AWS가 직접 운영하는 엑스포 존(Expo Zone)에서는 ‘Amazon Bedrock Theater’를 통해 최신 생성형 AI 기술과 활용 사례가 소개됐다. 참가자들이 직접 AI 기반 만화 생성 체험을 할 수 있는 ‘Comic AI’, 퀴즈 이벤트 ‘History Quiz’도 눈길을 끌었다. 또한 ‘Public Sector Demo Booth’에서는 정부, 비영리기관(NPO), 교육, 헬스케어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솔루션이 시연됐다.
이날 기조연설에는 AWS 전 세계 공공부문·비영리·국제 산업 영업을 총괄 제프 크라츠(Jeff Kratz) 부사장이 직접 나섰다.
그는 먼저 한국 정부가 발표한 700억 달러 규모의 AI 투자 계획을 언급했다. 그는 “한국은 세계 3대 AI 강국을 목표로 하는 매우 야심 찬 전략을 세웠다”면서 “글로벌 기술 리더와 협력하면서 동시에 자국의 연구개발 역량과 인프라를 키우는 ‘이중 전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런 균형 잡힌 접근법이야말로 한국이 글로벌 AI 경쟁에서 빠르게 자리매김할 수 있는 현명한 길”이라고 덧붙였다.
제프 크라츠 부사장은 무엇보다 공공 영역에서 인공지능의 권한이 확대될수록 인간 중심의 원칙과 신중한 의사결정 체계가 반드시 동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보건, 치안, 행정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된 분야일수록 AI를 단순한 자동화 도구가 아닌, 인간의 판단을 보완하고 역량을 확장하는 수단으로 바라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의 현황과 잠재력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한국은 정부 주도의 대규모 투자뿐 아니라 민간 기업과 스타트업이 보여주는 혁신 속도 역시 매우 인상적”이라며 “기술과 자본뿐 아니라 인재 양성 측면에서도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 |
크라츠 부사장은 영국, 대만, 싱가포르, 미국 등 각국의 공공 서비스 혁신 사례도 소개했다. 영국 국가보건서비스(NHS)가 암 조기진단 과정에 인공지능을 도입해 임상의 판단을 보완하고 있다고 설명하며 “AI는 대체자가 아니라 보조자 역할을 하며, 의료진이 더 빠르고 정확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한국제약바이오협회(KPBMA)는 AWS와 함께 연합학습 기반 신약개발 프로젝트(K-MELLODDY)를 추진 중이다. 협회는 아마존 VPC(Amazon VPC), AWS 트랜짓 게이트웨이(AWS Transit Gateway), 아마존 EC2 G6e 인스턴스, 아마존 세이지메이커를 활용해 보안 협업 인프라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33개 기관이 민감한 의료데이터를 로컬에 둔 채 모델 파라미터만 공유하며 공동 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했다. 국내 개인정보보호 규정을 준수하면서 전임상 단계의 의사결정을 가속하는 공공 연구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AWS는 ‘전략적 디지털 주권(strategic digital sovereignty)’을 키워드로 제시하며, 각국이 데이터·보안·규제 준수를 통제하면서도 글로벌 혁신에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실제 독일 뵈르제 슈투트가르트 그룹(Boerse Stuttgart Group)이 AWS 콘트롤타워와 키 매니지먼트 서비스를 도입해 63TB 규모의 금융 데이터를 안전하게 이전하고 성능을 15% 개선하면서 규제 준수를 달성한 경험을 소개했다.
국내 사례도 다양하게 발표됐다. 업스테이지는 AWS 머신러닝 인프라를 기반으로 대규모 언어모델(LLM) ‘솔라(Solar)’와 문서 처리 솔루션을 확장해 금융·법률·교육·정부 등 수백 개 조직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는 국가 AI 연구용 컴퓨팅 지원 프로젝트에 AWS를 글로벌 클라우드로 선정해 다국어·멀티모달 모델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AWS는 또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AWS 액티베이트(Activate)’를 통해 초기 기업들에 클라우드 크레딧, 기술 지원, 교육 리소스를 제공하며 국내 혁신 생태계 성장을 돕고 있다.
제프 크라츠 부사장은 “AWS는 한국 스타트업들이 단순히 기술을 개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글로벌 무대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기술 지원과 비즈니스 모델 고도화를 함께 돕고 있다”며 “한국 기업들이 세계 시장으로 확장하는 과정에서 AWS가 전략적 파트너 역할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파트너 데모 존(Partner Demo Zone)에는 국내 대표 클라우드 및 AI 기업 9곳이 참여했다. NDS, 메가존클라우드, 업스테이지, 솔트웨어, 와탭랩스, 디딤365, 윈스테크, 웅진, 이테크시스템 등이 공공 부문 비즈니스 파트너십 강화와 신규 시장 개척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선보였다.
![]() |
![]() |
![]() |
![]() |
01 | SCL사이언스,펜타메딕스 인수..개인 맞춤형 ... |
02 | 제이엘케이, AI 뇌경색 회복 예측 연구 결과... |
03 | 파미셀 “줄기세포 치료, 알코올성 간경변 환... |
04 | "데이터 안 모으면, 3강 진입 없다" 한국 AI... |
05 | 셀트리온, 고용노동부 ‘2025 대한민국 일자... |
06 | 에이테크아이엔씨, ISO 13485 인증 획득..해... |
07 | 에피바이오텍, 베이징 노스랜드와 JV 설립 ... |
08 | 문신사법, 법사위 통과 하루 만에 본회의 좌... |
09 | "한국, 세계 3대 AI 강국 유력" AWS '퍼블릭... |
10 | 대한한약사회, 동아대병원 문전약국 소송 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