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 커뮤니티케어 배제? 아직 시작도 안 했다"
임종한 교수, 커뮤니티케어 정책논의에서 약사 적극적 참여 당부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11-30 15:10   수정 2018.11.30 15:14
커뮤니티케어에 약사가 배제됐다는 의문에 대해, 정부 정책이 시작도 하지 않은 단계로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야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인하대 의대 임종한 교수(한국커뮤니티케어 보건의료협의회 상임대표)<사진>는 30일 중앙대 약대에서 열린 한국보건사회약료경영학회 2018년도 후기학술대회에서 '한국커뮤니티케어 현황과 지역사회 약사의 역할' 기조강연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복지부는 지난해 취약계층 돌봄 체게를 '커뮤니티케어'로 전환할 것을 선언하고, 최근 주거 복지와 건강의료, 요양돌봄, 서비스 연계 등 4대 핵심요소를 포함한 추진 내용을 밝혔다.

이를 위해 복지부는 내년부터 2022년까지 10곳의 선도사업을 실시하고, 2025년까지 지역사회통합돌봄(커뮤니티케어) 재공기반 구축단게를 갖추도록 하며, 2026년 이후 보편화할 계획이다.

임 교수는 "커뮤니티케어에를 위해서는 지역사회에서 사는 사람을 위한 지원서비스가 확보돼 주거·일자리 등 지원이 촘촘해야 하고 이들 기능이 유기적이고 유연하게 작동해야한다"며 "지역사회가 사회적 약자를 이웃으로 포섭하는 치료적 지역사회가 돼야 한다"고 전제했다.

이어 "23개 단체가 참여한 한국커뮤니티케어 보건의료협회에서는 병원에서부터 지역으로의 보건의료 패러다임을 전환해 환자중심의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가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임종한 교수는 이러한 분위기에서 환자 돌봄과정에 따른 약사의 역할 또한 중요하다고 짚었다.

약물공급 관리자로서, 약물 이용 카운셀러, 약물치료제, 일차의료제공자로서 수행할 역할이 있다는 것.

임 교수는 "일차의료의 강화 전문인력으로서의 약사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며 "의사 처방전을 면밀히 분석해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점을 제시할 인력이 필요하고, 불필요한 약제 사용을 방지하는 등 환자 복약순응도 증대 역할이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 "커뮤니티케어는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시대적으로 불가피한 요구로, 타 직종과의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지역사회에서의 약사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며 "약사연수교육 강화, 약사면허취득 전 실무수련 의무화 등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특히, 임종한 교수는 발표 후 플로워 중 '왜 국가정책에서 약사가 배제되는가', '약사가 좀더 참여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의견을 달라'는 질의에 대해 그간 오해를 해명하기도 했다.

임 교수는 "현재 커뮤니티케어는 이제 막 정책의 방향을 잡는 단계로, 보건의료계에 건강보험 등 구체화 해야하는 초기단계"라며 "(약사사회가)적극적으로 참여해 지역사회 약사 역할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그는 "어차피 의사가 다 할 수 없는 역할이고, 다른 직종간 협업이 불가피해 배제할 수는 없지만 목소리를 낼 필요가 분명히 있다"며 "약사를 포함한 25개 단체가 참여해 커뮤니티케어 보건의료협의회가 구성됐는데 공동의 의견을 묶어 정책 피드백 역할을 적극적으로 하기로 했다. 앞으로의 논의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