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약사회(회장 조찬휘)는 1일 편의점산업협회(이하 ‘편산협’)의 최근 보도자료를 반박하는 성명을 발표, "의약품 판매보다 안전 관리를 위해 가맹점의 자정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편산협은 최근 보도자료를 통해 7월 29일 청계광장에서 실시한 약사총궐기대회에 대해 ‘국민건강 수호’를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사실상 편의점 안전상비약 품목 확대 반대를 위한 집회라고 지적했다.
또, 고려대 산학협력단 최상은 교수의 ‘안전상비약품 판매제도 시행 실태조사 연구’ 결과를 인용해, 안전상비의약품에 품목 확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부족하므로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자는 43.4%, ‘축소해야 한다’는 2.9%로 나타났다며 소비자들은 확대를 원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한약사회는 "가맹점에 대해 30~35%의 과도한 수수료를 징수해 국민적인 지탄을 받고 있는 편의점 본사, 이들을 대변하고 있는 편산협이 의약품에 대한 탐욕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며 자신들에게 쏟아지는 비판을 불식시키려 하고 있다"며 "약사 궐기대회를 폄하하고 편의점 판매약의 부작용이 미미해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 의약품 안전성에 대한 자신들의 무지를 여실히 드러냈다"고 편산협의 주장을 반박했다.
또, "의약품은 단 한건의 부작용이 발생해도 국민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하며 "최상은 교수조차 안전상비의약품이라는 표현이 소비자에게 편의점약이 안전한 것이라는 잘못된 정보를 줄 수 있어 용어 변경을 제안했다"며 편의점 판매약의 안전 인식을 지적했다.
최 교수 연구에 의하면 편의점 판매약에 부작용이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소비자가 43.5%에 달하고 있고, 편의점 의약품 판매 이후 10.1%의 소비자가 의약품을 더 자주 복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또한, 의약품정책연구소 조사 결과에 따르면, 편의점약 판매업소의 71,7%가 판매수량 제한 등 약사법을 위반하고 있으며, 판매업소의 20.4%는 24시간 영업시간을 준수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에도 편산협과 편의점 본사들은 별다른 자정노력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한약사회는 "편산협은 의약품에 대한 탐욕을 버리고 과도한 가맹수수료 인하, 편의점간 출혈경쟁의 원인이 되는 근접 출점 제한 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국민의 건강을 조금이라도 염려한다면 일선 편의점들이 약사법을 준수할 수 있도록 자정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일침을 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