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질환 예방에 저용량 아스피린 복용 고려 가능
전문의 상담 후 복용 여부 결정…이미 복용하고 있다면 ‘꾸준함’ 필요
전세미 기자 jeons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05-16 14:52   수정 2018.05.16 14:53
고혈압의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심혈관질환은 전 세계 1위, 한국인의 2위 사망원인 으로,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이상이 생긴 질환을 포함한다. 고혈압•당뇨병과 같은 선행질환과 더불어 식습관, 흡연, 음주, 생활방식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생활습관 개선이 병행되어야 한다.
 
보건복지부의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9가지 생활 수칙’에 따르면 담배는 반드시 끊고 술은 하루 한두 잔 이하로 줄여야 한다. 음식은 싱겁게 골고루 먹되 채소와 생선은 충분히 섭취한다.

또한 매일 30분 이상 운동하며 적정 체중과 허리둘레를 유지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생활을 해야 한다. 더 나아가 정기적으로 혈압∙혈당∙콜레스테롤을 측정하고, 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을 앓고 있다면 꾸준히 치료해야 한다.

건강한 생활습관과 함께 의약품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저용량 아스피린은 혈전 생성을 억제해 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심혈관계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입증되어 심혈관질환 예방 목적으로 이용된다. 대표적인 저용량 아스피린 제품에는 ‘아스피린프로텍트’가 있다.

심혈관질환의 위험군이라면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저용량 아스피린의 복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심혈관질환의 위험군은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당뇨병, 비만, 허혈성 심장질환의 가족력 등이다.

이미 저용량 아스피린을 복용하고 있다면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복용지시에 따르지 않고 임의로 복용을 중단할 경우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성지동 교수는 “심혈관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약의 장기 복용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버리고 식생활 관리와 함께 의사의 처방 혹은 약사의 복약지도에 따라 제때, 정확하게 약을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복약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스마트폰의 알람∙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거나, 주변 가족에게 복용 사실을 알려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