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넛 오일 추출 라우르산 골관절염 예방 시사
포화지방 섭취 골관절염‧대사증후군 밀접한 상관성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7-04-21 16:25   

포화지방 섭취가 연골 조성에 변화를 유도해 골관절염 유발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유력하게 시사하는 동물실험 결과가 공개됐다.

반면 코코넛 오일에서 추출된 라우르산(lauric acid)의 경우 골관절염 예방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호주 퀸스랜드공과대학 보건‧생물의학혁신연구소(IHBI)의 샤오인 교수와 서던퀸스랜드대학 보건복지대학 농업‧환경연구소의 린제이 브라운 교수가 총괄한 공동연구팀은 과학저널 ‘네이처’誌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誌(Scientific Reports) 온라인판에 18일 게재한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연구팀이 찰스왕세자병원연구재단(PCHRF)의 지원으로 동물실험을 진행한 후 이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담은 이 보고서의 제목은 ‘실험용 쥐들에게서 포화지방산이 대사증후군 및 골관절염 발생을 유도하는 데 미친 영향’이다.

이와 관련, 사람들이 주로 섭취하는 포화지방산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및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등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실험용 쥐들을 대상으로 포화지방산과 과도한 단순 탄순화물을 함께 섭취토록 했을 때 무릎관절에 골관절염과 유사한 변화 및 대사증후군 증상들이 유도되는 데 미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동물실험을 진행했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실험용 쥐들에게 옥수수 전분 또는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 각 20%가 함유된 단순 탄수화물 및 우지(牛脂)를 16주 동안 공급했다.

그 결과 우지, 스테아르산, 미리스트산 또는 팔미트산을 공급받았던 그룹의 경우 대사증후군 증상들이 나타났을 뿐 아니라 골관절염과 유사한 연골손상 및 연골하 골 변화 등이 관찰됐다.

하지만 우지를 코코넛 오일에서 추출된 라우르산으로 바꿔 공급한 그룹에서는 대사증후군 증상들이 감소한 데다 연골손상 또한 줄어들었음이 눈에 띄었다.

더욱이 소 연골 이식물질 또는 사람 연골세포를 배양한 시험관에 라우르산을 투여한 결과 황산화 프로테오글리칸의 생성량이 증가한 것으로 관찰됐다. 하지만 팔미트산이나 스테아르산을 투여했을 때는 이 같은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실험용 쥐들에게 포화지방산을 공급했을 때 대사증후군 뿐 아니라 골관절염과 유사한 무릎의 변화가 관찰된 만큼 포화지방산 섭취를 억제하는 식생활이 골관절염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성립될 것으로 보인다”고 결론지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